[쿠키뉴스] 조현지 인턴 기자 =‘6·4 톈안먼 민주화운동’ 31주년을 맞은 4일 중국과 홍콩에는 대조적인 분위기가 흘렀다. 중국은 침묵했지만 홍콩은 곳곳에서 추모의 촛불을 들었다.
1989년 6월 4일 베이징 톈안먼광장에서 대학생들과 시민들이 민주화와 정치개혁을 요구하며 톈안먼 민주화 운동을 진행했으나 중국정부가 탱크와 장갑차를 동원, 유혈 진압을 강행해 수천 명이 숨졌다. 이후 매년 6월 4일 홍콩 빅토리아 공원에서는 수 만명이 시민이 모여 톈안먼 희생자 추도 행사를 열었다.
이날 오전 베이징 톈안먼 광장은 톈안먼 시위 31주년을 맞이했음에도 코로나19 통제 여파 등으로 더욱 썰렁한 모습이었다고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톈안먼 광장은 외신기자의 출입이 여전히 금지됐으며 중국인 관람객들도 소지품과 신체검사를 꼼꼼히 하는 등 경비가 강화돼 한적했다.
중국 정부는 여전히 톈안먼 사태를 ‘1980년대 말 정치 풍파’라고 칭하며 전면적 통제에 나섰다.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전날 브리핑에서 톈안문 민주화 운동 강경진압이 중국의 경제 발전을 이룩했다며 정당성을 거듭 강조했다.
그는 “1980년대 말 발생한 정치 풍파에 대해 중국 정부는 이미 분명한 결론을 내렸다”며 “신중국 성립 70여 년 만에 이룬 위대한 성취는 우리가 선택한 발전 경로가 완전히 옳았음을 충분히 증명한다”고 밝혔다.
중국 정부는 외부 정보 통제에 나서며 중국에서 해외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는 가상사설망(VPN)을 대대적으로 차단했다.
내부 단속에도 들어갔다. 중국 소셜미디어 웨이보에서는 여전히 톈안먼 민주화운동을 뜻하는 ‘6·4’의 검색이 차단돼 있다. 이날 중국 관영 매체에서도 톈안먼 시위 31주년과 관련된 보도는 찾아볼 수 없었다.
톈안먼 시위 당시 동조적인 입장을 보였다는 이유로 실각한 자오쯔양 전 공산당 총서기 묘소에 대한 출입도 최근 통제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에서는 톈안먼 시위가 입에 올려서 안되는 금기로 간주되고 있다.
반면 홍콩에서는 홍콩 정부가 코로나19 대응을 이유로 추모 집회를 불허했음에도 톈안먼 시위 희생자를 추모하는 촛불 시위가 열렸다.
30년동안 한 해도 빠지지 않고 추도 집회를 개최해온 빅토리아 공원과 몽콕, 쿤통, 췬완, 사이잉푼, 툰문, 타이와이 등 홍콩 곳곳에서 홍콩인들은 촛불을 들고 추모집회에 참여했다.
이날 집회를 주최한 홍콩시민지원애국민주운동연합회(지련회)의 리척얀 주석은 “독재는 바이러스와 같으며, 세계는 이에 맞서 싸워야 한다”며 “홍콩보안법이 시행되더라도 우리는 내년에 촛불을 들고 이곳으로 모일 것”이라고 밝혔다.
저녁 8시에 집회가 시작된 후 8시 9분에는 빅토리아 공원에 모인 수천 명의 홍콩인이 일제히 묵념을 올렸다. 8시 9분은 1989년에 톈안먼 시위가 벌어졌다는 것을 상징한다.
이날 홍콩 정부는 3천여 명의 경찰을 시내 곳곳에 배치했으며, 몽콕 지역에서는 시위대와 경찰의 충돌도 벌어졌다.
추모 집회는 온라인으로 생중계됐고, 미국, 유럽, 대만 등 세계 곳곳에서 동참하는 시위가 벌어졌다.
한편 대만은 ‘톈안먼 유혈 진압’에 대한 중국의 사과를 요구하며 추모에 동참했다.
대만 당국은 3일 성명에서 “1989년 톈안먼 광장에서 민주화를 요구하던 시위대를 유혈 진압한 데 대해 사과해야 한다”고 중국에 촉구했다.
차이잉원 대만 총통은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계정에 “지구상 어떤 지역도 1분은 60초지만, 중국은 매년 364일만 있고, 하루를 잊어버린다”면서 “대만도 과거에는 달력에 넣을 수 없는 많은 날이 있었지만, 우리는 하나하나 이날들을 되찾아 왔다”고 톈안먼 사건을 외면하는 중국의 행태를 지적했다.
이어 “우리는 더 이상 역사를 은폐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미래를 함께 모색할 수 있다”면서 “이 세상 모든 장소와 모든 영토에 다시는 날짜가 사라지지 않기를 바라고, 홍콩을 축복한다”고 덧붙였다.
hyeonzi@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