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2일 (금)
서울 아파트값 3달 만에 상승 전환…분양경기실사지수 급등

서울 아파트값 3달 만에 상승 전환…분양경기실사지수 급등

기사승인 2020-06-11 16:29:25 업데이트 2020-06-11 16:44:44

[쿠키뉴스] 안세진 기자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가 3달 만에 상승 전환했다.

11일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6월 전국 분양경기실사지수(HSBI) 전망치는 지난달보다 3.1p 오른 79.6으로 집계됐다.

지역별 HSBI 전망치는 서울이 지난달보다 17.9p 상승한 109.5였다. 지난 2018년 9월 119.6 이후 최고 수치이며 100을 다시 돌파한 것은 지난해 12월 102.1 이후 6개월 만이다. 

인천(91.1)과 경기(90.9)도 코로나19에 따른 경기침체 속에서도 비교적 양호한 전망치를 보였다. 지방광역시는 70∼80선, 기타 지방은 50∼70선으로 큰 변동 없이 유지했다. 

다만 제주(50.0)는 16.6p 하락하며 전국 최저치를 기록했다.

HSBI는 분양을 앞두고 있거나 분양 중인 아파트 단지의 분양 여건을 공급자입장에서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지표로 쓰인다. 주택사업을 하는 업체(한국주택협회·대한주택건설협회 회원사들)를 상대로 매달 조사한다.

HSBI가 100을 초과하면 분양 전망이 긍정적이라는 것을 의미하고 100 미만이면 그 반대를 뜻한다.

재개발·재건축 HSBI 전망치도 전월대비 상승했다. 재개발 HSBI 전망치는 지난 달 보다 12.0p 상승한 91.7을 기록했고 재건축 HSBI 전망치도 전월 대비 9.9p 오른 93.2를 기록했다.

이 외에도 이달 분양물량 전망는 전월 대비 19.1p 올라 115.4를 기록했다 지난달 22.9p 상승한 데 이어 두 달 연속으로 급등했다. 코로나19로 지연됐던 물량과 함께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와 지방 광역시 전매제한 강화 시행 전에 분양하려는 물량이 많아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전망치가 지난해 9월 이후 9개월 만에 기준선(100.0)을 웃돌았다.

반면 이달 미분양 전망치는 전달보다 7.1p 하락한 83.3이었다. 일부 2기 신도시와 경남 일대 미분양 물량이 감소하면서 미분양 부담이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산연은 “수도권의 분양 여건이 개선될 것이라는 인식이 증가했다”며 “사이버마케팅 등 코로나19 방역체계 내에서도 분양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방안이 도입되고 있는 점과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시행을 앞두고 있다는 점이 반영되면서 기대감이 집중됐다”고 분석했다.

이어 “다만 HSBI지수가 코로나19 영향으로 전망치와 실적치가 매우 낮았던 지난 4월부터 5월까지의 기저효과로 이달 들어 HSBI 전망치가 대폭 상승한 만큼 주택사업경기가 개선되었다고 판단하기에는 아직 이른감이 있다”고 덧붙였다.

asj0525@kukinews.com

안세진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T1, 1라운드 5승4패 마무리…DN, 9연패 수렁

T1이 DN 프릭스를 꺾고 상승 곡선을 그린 채 1라운드를 마쳤다.T1은 2일 오후 5시 서울 종로구 롤파크 LCK 아레나에서 열린 ‘2025 LCK’ 정규시즌 1라운드 DN 프릭스와 경기에서 세트스코어 2-0으로 승리했다.연패를 막은 T1은 1라운드를 5승4패로 마치며 2라운드 반등의 발판을 마련했다. 반면 DN은 2023 LCK 서머 2라운드 이후 처음으로 라운드 전패 수모를 겪었다.양 팀은 1세트 난전을 벌였다. DN은 2용, T1은 5유충을 획득했다. 여기서 T1이 한발 앞서갔다. 18분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