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업계는 신용평가모델을 손보는 등 금리인상 준비로 분주하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한은 금리인상 시사와 향후 당국 대출 규제 강화 등이 예상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잠재 부실 리스크에 대비하고자 신용평가모델을 개선, 적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특히 다중채무자 관리와 대출고객 현금흐름에 기초한 상환능력 평가,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관리로 선제적 리스크 관리에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관계자는 “향후 금리인상이 본격화되면 변동금리 대출고객 이자부담이 늘어남은 물론 다중채무자 위주로 가계부채 부실 리스크가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부실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 다중채무자 대상 대출 승인기준을 강화하는 등 선제적 리스크 관리를 실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국내 은행 부실채권비율은 역대 최저 수준이다. 3개월 이상 연체된 대출금이 부실채권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3월말 국내 은행 부실채권 비율은 0.62%로 전분기말 대비 0.02%p 하락했다.
자산건전성이 나쁘지 않은데도 은행들이 리스크 관리에 집중하는 건 수익이 줄 걸 막기 위해서다.
당장 다음 달부터 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 문턱을 높인 새 가계부채 관리방안이 시행된다. 대출을 조이면 은행은 수익 타격을 입는다. 여기에 기존 채권마저 부실을 일으키면 손실은 더 커질 수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금리가 오르면 고액, 다중채무자 이자부담이 커지고 부실이 생길 수 있다. 부실이 생기면 당기순이익을 계산할 때 충당금으로 털어낸다”며 “부실이 안 생기게 하는 것도 수익을 내는 방법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최근 물가안정 목표운영 간담회에서 하반기 금리인상을 공식화했다.
금융권 안팎에서는 올해 네 차례(7월·8월·10월·11월) 남은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 중 10월 인상을 점치고 있다. 한은이 시장 충격을 의식해서 당장 다음 달 금리를 올리지는 않을 거라는 분석이다.
기준금리를 올리는 배경은 물가안정과 급증하는 가계부채를 잡기 위해서다.
가계부채 증가속도는 매우 빠르다. 한은에 따르면 지난해 말 가계신용(가계대출+판매신용) 잔액은 1726조1000억 원으로 사상 최대다. 1년 사이에 125조8000억 원 불었다.
가계신용 중 가계대출 지난해 4분기 증가액은 44조5000억 원이다. 분기 증가액 기준으로 20003년 통계를 낸 이래로 가장 많다.
song@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