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 송금종 기자 = KT가 8일 서울시, 한국교통연구원과 통신 빅데이터를 활용한 ‘서울시 생활이동 데이터’를 개발했다.
서울 생활이동은 특정시점·지역 간 서울 안에서 이동하거나 서울 외부에서 서울로 오고 간 모든 인구 이동을 집계한 데이터다.
KT 통신데이터와 서울시 공공 빅데이터, 한국교통연구원 통행량 데이터를 합쳐 만들었다.
출·퇴근, 등·하교는 물론 비즈니스·쇼핑·여가활동 등을 위해 이동한 경우를 포함하며 출발지·목적지·시간대·성·연령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서울 전역을 행정동보다 조밀한 1831개 구역으로 나누고 20분 단위 이동을 추계해 시의성 있는 세밀한 정책 지원이 가능하다.
서울 생활이동 데이터는 코로나19 대응이나 통근·통학시간 개선 등 서울시 각종 정책 수립에 쓰인다.
출퇴근 시간 혼잡도가 높게 나타난 노선 증차를 결정하거나 대중교통 인프라 수요가 높은 지역에 버스노선을 신설할 수 있다.
청년 공공주택 부지로 2,30대 통근인구가 많은 지역을 선정하는 등 도시 공간 구조개선에도 활용된다.
데이터는 오늘(8일) 서울시 열린데이터광장에 공개되며 매달 업데이트 된다.
서울시는 KT와 서울 생활이동 빅데이터를 분석해 정책상 유의미한 인사이트를 발굴, 공개했다.
서울을 오가는 이동인구 중 서울에서 경기도로 출근·등교하는데 걸린 평균 65.4분, 경기도에서 서울로 이동하는 데는 평균 72.1분이 걸렸다.
통근이나 통학을 하는 2,30대 청년인구가 가장 많이 거주하는 행정동은 강남구 역삼 1동·관악구 청룡동·영등포구 영등포동·관악구 신림동·강서구 화곡1동 순으로 나왔다.
최준기 KT AI·빅데이터 사업본부 본부장은 “서울 생활이동 데이터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민관연 협력모델로 성과를 창출한 사례”라며 “생활이동 데이터가 스마트시티 서울을 구현하는데 초석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서울시 박종수 스마트도시정책관은 “통근·통학시간은 시민 개개인에게 중요한 문제로 장거리 통근이나 극심한 혼잡은 정신·육체적 스트레스를 가중시키고 삶의 만족도를 떨어뜨리는 요인”이라며 “생활이동 데이터는 시민의 삶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할 스마트도시에 꼭 필요한 데이터며, 데이터는 시민에게도 공개해 데이터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song@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