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17일 (토)
김성주 의원 “친생부모 정보공개 동의 절차… 전화 방식으로 개선 필요” [국감 2021]

김성주 의원 “친생부모 정보공개 동의 절차… 전화 방식으로 개선 필요” [국감 2021]

친생부모 39.4%가 ‘무응답’
김 의원 “개정안 발의… 입양특례법 적극 해석 필요해”

기사승인 2021-10-19 10:01:28
김성주 더불어민주당 의원.   김성주 의원실 제공
최기창 기자
mobydic@kukinews.com

[쿠키뉴스] 최기창 기자 =입양인의 친생부모에 대한 정보 접근성이 개선돼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김성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친생부모로부터 받는 인적사항 공개 동의 절차를 우편에서 전화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실에 따르면 현재 본인의 친생부모를 찾고자 하는 입양인은 입양정보공개청구제도를 통해 아동권리보장원이나 입양기관에 정보공개청구를 신청할 수 있다.

입양인의 신청을 받은 아동권리보장원장은 친생부모의 동의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주민등록이나 가족관계등록, 출입국기록 등의 자료를 관계기관장에게 확인 요청할 수 있다. 이후 친생부모의 주소지가 확인되는 경우 인적사항 공개 동의 여부 확인서를 우편 발송하게 된다.

그러나 입양인이 정보공개청구를 요청하더라도 친생부모의 동의 의사조차 확인할 수 없는 사례가 다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김 의원이 아동권리보장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입양인의 친생부모 정보공개 청구 결과에 따르면 2016년부터 2021년 5월까지 국내 입양인이 청구한 345건 중 136명이 무응답이었다. 비율로는 39.4%에 달한다. 

또한 2016년부터 2021년 5월까지 해외입양인이 청구한 9022건 중에서도 25.5%에 달하는 2299건이 무응답이었다. 

김 의원은 “친생부모의 소재지가 확인됐다 할지라도 우편물을 전달조차 하지 못한 이른바 ‘폐문부재’가 있다”며 “이 경우 입양인은 친생부모의 동의 여부 의사조차 확인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입양특례법 시행령 제15조 제5항을 적극적으로 해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통해 친생부모의 부담을 줄이고 동의 여부 응답률도 높일 수 있다는 지적이다. 

김 의원은 “관계기관에 전화번호 등을 받아 친생부모의 의사를 확인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며 “친생부모 소재지의 관할 경찰서와 전기통신사업자에게 전화번호 제공을 요청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 동의 절차를 우편방식에서 전화 방식으로 개선하는 개정안을 지난 5월 발의했다”고 말했다.

이어 “법안 추진을 위한 관계기관의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한다”고 덧붙였다.

mobydic@kukinews.com
최기창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자연이 교과서, 미래가 교실…양천구 ‘그린스쿨링’ 실험

“멸종위기 생물 손수건 만들기 체험을 하면서 멸종위기 동물들이 많다는 걸 알게 됐어요. 지구를 지키기 위해 재활용을 더 열심히 할 거예요” (길산초 6학년 김모양)기후위기 시대, 미래세대가 마주할 환경 문제를 교실 밖으로 끌어내 함께 고민하고 실천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16일 서울 양천구청 일대에서 열린 ‘Y교육박람회 2025’ 현장. 쏟아지는 소나기도 아이들의 호기심을 꺾지는 못했다. 학생들은 이른 오후까지 이어진 빗줄기에도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