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역과 무관하게 집값이 하향 안정세로 접어들었다고 밝혔다. 올해에는 집값이 떨어질 거라고 보는 시민들의 바람이 이뤄질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지역 무관하게 하향안정세 가속도 붙는 중"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제36차 부동산시장 점검 관계장관회의에서 “최근 주택매매시장이 서울→수도권→전국으로 매수심리 위축이 연쇄 확산하고 있다”며 “지역과 무관하게 집값이 하향 안정세로 전환에 가속도가 붙고 있다”고 말했다.
홍 부총리는 “서울 은평구, 강북구, 도봉구 등 3개구 가격 하락에 이어 전체 자치구의 76%가 하락 경계점 이내로 진입했다”며 “수도권은 지난해 10월 첫 주 대비 12월 말까지의 낙폭이 0.30%p에 이르러 부동산원 통계 약 3개월 기준으로 비교 시 사실상 최고수준”이라고 입을 열었다.
특히 세종의 경우 매매가격지수가 지난해 12월 마지막주 중 공공·민간 통계를 통틀어 역대 최고 수준인 0.63%p 급락했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가격상승분을 모두 반납하고 1년 전 수준으로 회귀했다는 것이 홍 부총리의 설명이다.
아울러 홍 부총리는 2030년까지 시장에서 공급과잉을 우려할 정도로 물량을 내놓겠다고 밝혔다. 홍 부총리는 “정부는 올해 중 후보지 발굴→지구지정→분양→입주의 주택공급 사이클 전반에 있어 물량확대 및 속도 제고를 통해 체감도를 업그레이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홍 부총리는 “내년 53만가구를 포함해 2030년까지 시장 일각에서 공급과잉까지 우려할 정도의 매년 56만가구 주택이 공급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올해 입주 예정물량은 지난해 46만가구, 평년 46만9000가구를 상회하는 48만8000천가구가 예정돼 있다. 이 중 수요가 높은 아파트 물량은 지난해(32만2000가구)보다 3만5000가구 늘어난 35만7000가구를 확보한단 방침이다.
홍 부총리는 “분양의 경우 올해 분양 예정 물량 39만호와 사전청약 7만호를 합쳐 평년(최근 10년간의 평균 34만8000호) 대비 30% 이상 많은 46만호가 예정돼 있다”며 “사전청약은 2021년(3만8000호)의 약 2배 물량을 3기 신도시·2·4대책, 서울권 사업지 등 선호입지를 중심으로 실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1월 중 도심복합사업 신규 후보지를 선정·발표하고 2월부터는 1분기 총 1만5000호 사전청약 입주자 모집에 착수하는 등 주택공급 후속 조치가 중단 없이 지속적으로 이어지도록 총력을 기하겠다”고 덧붙였다.
"올해는 떨어지길"
시민들도 집값 하락을 희망했다. 최근 부동산 플랫폼회사 직방이 내놓은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집값 전망을 묻는 질문에 '하락할 것'이라는 답변이 '상승할 것'이란 답보다 많은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조사는 지난해 12월 직방 어플리케이션 내 접속자 1236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설문에 참여한 응답자 중 43.4%가 올해 거주지역의 주택 매매 가격을 어떻게 예상하느냐는 질문에 '하락할 것'이라고 답했다. '상승할 것'이라고 답한 응답자 비율은 38.8%였다.
연령별로 보면 40대 이상은 '하락' 전망 비율이 46.0%로 더 높았던 반면, 30대 이하는 주택 매매가격이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한 비율(48.4%)이 더 높았다.
지역별로는 서울, 지방, 지방5대광역시에서 '하락'할 것이라는 응답비율이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은 47.6%가 '하락', 33.8%가 '상승', 18.6%가 '보합'일 것으로 전망했다. 지방은 '하락'이 45.8%, '상승'이 37.3%, '보합' 16.9%으로 나타났다. 반면 경기는 '상승'이 42.8%로 '하락'(41.5%) 응답보다 높게 나타났고, 인천도 '상승' 응답이 43.0%로 '하락'(38.3%)을 전망하는 응답보다 더 높았다.
주택보유 여부에 따라서는 유주택자가 2022년 주택 매매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한 비율이 높았던 반면, 무주택자는 '하락' 전망 의견이 더 많았다.
올해 주택 매매가격이 하락할 것이라고 예상한 이유는 '현재 가격 수준이 높다는 인식'이 32.6%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는 △금리인상으로 인한 부담(24.2%) △부동산 대출 규제 강화에 따른 부담(18.8%) △코로나19로 인한 경기 불안 지속(6.5%) △대선, 지방선거 공약(6.1%) 등 순으로 나타났다.
안세진 기자 asj0525@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