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대선후보가 청년 세대를 겨냥한 수도권 선거 유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이를 바라보는 청소년 유권자들의 불만이 높다. 정치권에서 유권자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은 10대 청소년들을 외면하고 있다는 것이 이들의 주된 목소리다.
여야가 발표한 청소년 정책 대부분은 '입시 제도 개편'이다. 윤석열 국민의 힘 대선후보는 청소년 정책으로 △입시제도 단순화 △정시 비율 확대 조정 △입시 비리 암행어사제 △원스트라이크 아웃제를 내세웠다. 그는 대입 과정에서의 절차적 공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입시 비리 신고센터를 운영할 것을 발표했다. 또 입시 비리가 발생한 대학에 입학 정원 감축 등의 처벌을 내리겠다고 전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는 △대입 정시 비율 조정 △수능 초고난도 문항 폐지를 대표적 청소년 정책으로 내세우며 계층 간 불공정을 없앨 것을 약속했다. 또 아동권리보장 7대 공약을 통해 만 18세 이하 학생들에게 연간 120만 원의 청소년 수당을 지급하겠다고 했다.
그러나 청소년 정책에 대한 10대의 시선은 차갑다. 해당 공약이 '입시 제도'에만 치우쳐 있다는 것이다. 인문계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A씨(19·여)는 "기성세대가 청소년을 공부하는 이미지로만 떠올리기 때문에 다른 부문의 청소년 정책이 부족한 것 같다"며 "10대도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세대이므로 청소년 정책을 더 다각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청소년 공약의 실현 여부가 당사자인 10대가 아닌 학부모들에 의해 좌지우지될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고2 학생을 자녀로 둔 B씨(51·여)는 "청소년 정책은 늘 학부모들의 입김에 휘둘렸다"며 "진정 아이들을 위한 정책으로 실행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꼬집었다.
10대는 다른 연령층에 비해 부실한 청소년 정책의 원인으로 '투표권의 부재'를 뽑았다. 류호성(19·남)씨는 "다른 세대에 비해 10대 유권자 비율이 상대적으로 적다 보니 청소년 정책이 빈약한 건 어쩔 수 없는 것 같다"고 했다.
A씨(19·여) 역시 충분하지 않은 청소년 정책에 대해 "투표권이 주된 원인"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투표권 유무로 청소년을 외면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며 "대선 후보가 유권자의 눈치를 보며 공약을 발표하는 사람이 아니지 않느냐"고 지적했다.
흔히 정치에 무관심한 세대라는 사회적 인식이 무색하게 10대가 후보자들에게 전하고자 하는 의견은 다양했다. 예술고등학교에 진학 중인 박건우(19·남)씨는 '청소년으로서 대선 후보들에게 바라는 점이 있느냐'는 질문에 "예체능 전공 학생들을 위한 금전적 지원의 확대"라 답했다. 그는 "2030세대를 향한 지원금 공약은 많으면서 청소년을 위한 지원 정책은 상대적으로 적은 점이 아쉽다"고 호소했다. 그러면서 "예체능 전공을 희망하는 고등학생은 현실적으로 국가의 금전적 지원이 중요하다. 이러한 학생들도 지원받을 방안을 마련해주셨으면 좋겠다"고 했다.
류씨(19·남)는 "10대의 대표 관심사가 입시인 만큼 후보자 대부분이 청년 정책으로 '입시 제도 개편'을 내세웠다"며 "그런데 교육 관련 공약조차 다른 부문에 비해 상대적으로 빈약하다"고 지적했다. 또 "입시 제도가 너무 자주 바뀐다. 후보자들이 우선 대입 전형에 대한 구체적인 틀을 정해두고 공약을 보완했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윤주혜 인턴기자 bethy1027@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