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1일 (목)
이준석‧송영길 당대표 책임론 솔솔…‘선거전략 실패’

이준석‧송영길 당대표 책임론 솔솔…‘선거전략 실패’

신율 “이준석 선거전략 문제”
최요한 “송영길 포용의 리더십 부족”

기사승인 2022-03-10 18:54:41
이준석 국민의힘 당대표(왼쪽)와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사진=임형택 기자
임현범 기자
limhb90@kukinews.com

제20대 대통령 선거가 끝나고 양당 대표의 책임론이 부상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당대표들이 당내에서 분란을 일으키는 모습을 보이거나 중도 지지층 포섭에 실패하는 모습 등을 보여 자유로울 수 없다는 평가다.

쿠키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이준석 국민의힘 당대표는 ‘이대남 전략’으로 여성가족부 폐지 등을 언급했지만 성별 갈등을 촉발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일각에서는 단일화를 두고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를 조롱하면서 책임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출구조사에서 20대 득표율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47.8%),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45.5%)로 2.3%p 차이가 났다.

20대 남성에서는 윤 후보가 58.7%, 이 후보 36.3%로 윤 후보가 22.4%p 앞섰지만, 20대 여성에선 이 후보 58.0%, 윤 후보 33.8%로 이 후보가 24.2%p 앞섰다. 여성 유권자들이 등을 돌린 셈이다.

이 대표는 ‘복합쇼핑몰’ 공약을 하면서 호남권의 지지율도 30%대를 공언했다. 하지만 제20대 대통령 개표 결과 전북(14.4%), 광주(12.7%), 전남(11.4%)에서 10%대 지지율을 간신히 넘겼다.

이뿐만이 아니다. 이 대표는 ‘단일화’가 필요한 상황에서 안 대표를 조롱하는 등 불편한 모습을 보였다. 이 때문에 국민의힘 내부에서도 멈추라는 목소리가 올라왔다. 지난달 23일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은 “이준석 대표님 조롱을 멈춰주시길 요청한다”며 “지금 필요한 것은 대표님의 조롱이 아닌 조력”이라고 강조했다.

정치권에서는 이 대표가 여론조사가 공표되지 않는 기간에 10% 이상 격차로 승리할 수 있다고 이야기해 민주당의 결집 양상을 불러왔다는 평가다. 이 대표는 지난 8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여론조사 블랙아웃 전에 5~8%가량 차이가 벌어졌다”며 “마음을 정하지 못한 분들이 투표하면 많게는 10%까지 차이가 벌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당내 갈등에서도 빠지지 않았다. 지난해 12월 22일 이 대표는 국민의힘 선거대책위원회를 하차했다. 당시 윤 후보가 ‘윤핵관’(윤석열 핵심 관계자) 비위를 방조하고 있다는 식의 주장을 해 당내 혼란이 벌어졌다.

이와 함께 개인적인 의혹도 해결되지 않은 상태다. 이 대표는 지난 1월 ‘성 상납 의혹’이 제기됐다. 당시 정치 민심이 크게 움직이는 설을 앞두고 경찰 조사를 받을 수 있다는 내용이 공개돼 선거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우려 섞인 목소리가 나왔다.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도 대선 패배로 ‘책임론’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앞서 당내 친문들과 갈등을 일으키는 발언을 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송 대표는 지난 7월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문재인 대통령을 지키겠다는 ‘대깨문’이 특정인이 되면 차라리 야당을 찍겠다고 한다”며 “그런 생각을 하면 문 대통령을 지키거나 성공시킬 수 없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 1월에도 MBC 뉴스외전에 출연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문재인 정권에서 탄압을 받던 사람”이라며 “기소돼서 죽을 뻔했다”고 말해 공분을 샀다.

이 때문에 문재인 대통령의 열성 지지자들인 ‘문꿀 오소리부대’가 지난 3일 윤 후보에 대한 전략적 지지를 선언했다. 윤 후보가 싫어도 이 후보보다 낫다는 지지자들과 윤 후보가 괜찮다고 생각을 바꾼 지지자들이 ‘전략적 지지’를 선택했다. 또 친문 세력으로 구성된 ‘깨어있는시민연대당’은 지난 1일 서울 강남구 서초역에서 윤 후보 지지 유세를 펼쳤다.

각각의 전문가들은 양 당의 당대표 리스크에 대한 해석을 내놨다. 특히 이 대표의 전략 문제와 송 대표의 포용력 리더십이 부족했다는 평가를 했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이 대표의 선거 전략을 지적했다. 신 교수는 10일 쿠키뉴스와의 통화에서 “이 대표가 전략적 실패가 있었기 때문에 책임론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며 “정권 심판론 구도에서 신승했다는 것은 ‘이대남 전략’과 세대포위론‘ 등의 전략을 구사했기 때문이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4.7 재보궐 선거 당시 이게 효과적이었던 것을 기억해 사용한 것 같다”며 “전국 단위 선거는 환경이 다르다는 것을 인지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최요한 정치평론가는 이날 본지와의 통화에서 송 대표의 포용 리더십 부족을 원인으로 꼽았다. 최 평론가는 “선거가 끝나면 책임론이 대두된다”며 “(이 후보가) 0선이기 때문에 의회 인연을 당대표가 해결해줬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선거의 당락이 결정된 득표율 차이가 0.73%p였다”며 “강성친문을 송 대표가 끌어안고 가는 리더십이 필요했다”고 말했다.

아울러 “송 대표가 앞서 언급한 친문 관련 발언이 지지자들에게 불편했을 수 있다”며 “이런 상황에 온 것에 대한 책임을 지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임현범 기자 limhb90@kukinews.com

임현범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올림픽 금메달 꿈꾸는 김길리 “세계에 인정받고 싶어요”

“쇼트트랙을 통해 많이 성장했어요. 올림픽 금메달을 따서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쇼트트랙 선수가 되고 싶습니다.”차세대 쇼트트랙 에이스로 떠오른 김길리(21)는 지난 4월29일 쿠키뉴스와 인터뷰에서 이렇게 포부를 밝혔다. 그의 마음속엔 오직 올림픽 금메달이라는 목표가 뚜렷하다.김길리는 최근 열린 ‘2025~2026시즌 국가대표 선발전’에서 총점 128점, 압도적인 1위를 차지하며 대표팀에 이름을 올렸다.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 2관왕, 베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