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10일 (목)
뉴욕증시, 침체 우려 속 ‘금리 하락’ 혼조 마감…다우↓·나스닥↑

뉴욕증시, 침체 우려 속 ‘금리 하락’ 혼조 마감…다우↓·나스닥↑

다우 0.42%↓…S&P 0.16% 나스닥 1.75%↑

기사승인 2022-07-06 06:43:56
연합뉴스
임지혜 기자
jihye@kukinews.com

미국 뉴욕증시의 주요 지수가 독립기념일 연휴 이후 첫 거래인일 5일(현지시각) 혼조세로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29.44포인트(0.42%) 떨어진 3만0967.82를 기록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6.06포인트(0.16%) 상승한 3831.39,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194.39포인트(1.75%) 오른 1만1322.24로 거래를 마쳤다.

경기 침체 우려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투자자들은 국채 금리 움직임 등을 주시했다.

이날 10년물 국채 금리는 장중 2.78%까지 내렸다. 미국 장기국채는 대표적인 안전 자산으로 꼽힌다. 국채 수익률과 가격은 반비례해 수익률이 떨어진다는 건 안전 자산에 수요가 몰려 가격이 오르고 있다는 의미다. 게다가 연방준비제도(Fed·연준) 통화정책에 민감한 2년물 국채 금리가 10년물 국채 금리를 넘어서는 장단기 금리 역전까지 발생했다. 장기금리가 단기금리보다 낮아지는 건 경기침체의 전조 증상으로 평가된다.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국제 유가도 하락했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8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 거래일 대비 8.2%(8.93달러) 떨어진 배럴당 99.5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경제 성장과 관련된 종목은 약세를 보였다. 농기계 업체인 디어와 건설중장비 업체인 캐터필러 주가는 각각 3.15%, 2.54% 내렸다. 광산업체 프리포트맥모란은 6.64% 급락했다.
 
국채 금리 하락은 기술주를 끌어 올렸다. 도큐사인과 줌비디오주가는 각각 6.70%, 8.52% 올랐다. 파괴적 혁신에 가치를 두고 각종 혁신적인 기술을 가진 기업에 투자하는 Ark Innovation ETF는 8% 이상 급등했다.

최근 최악의 실적을 보인 임의소비재는 반등했다. 아마존과 나이키는 각각 3.06%, 3.10% 올랐다. 

미 완성차 업체 포드 주가는 2분기 판매 대수가 예상보다 더딘 증가세를 보였다는 소식에 1.06% 내렸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시장이 침체 우려를 가격에 반영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모하메드 엘 에리언 알리안츠 수석경제자문은 CNBC를 통해 “시장은 연준이 금리를 올려 경기 둔화를 야기할 수 없다는 점을 가격에 반영하고 있다”고 말했다.

뱅크 웰스매니지먼트의 빌 노시 선임 투자 책임자는 로이터에 “경기 침체가 올해 말, 또는 2023년 초까지 나타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했다. 

임지혜 기자 jihye@kukinews.com
임지혜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슬의생’과 달라”…전공의 파업 속 ‘언슬전’ 공개, 시청자 처분만 남았다

의료대란 여파로 1년여 표류한 ‘언젠가는 슬기로울 전공의생활’이 마침내 시청자를 만난다. 슬기로운 ‘99즈’의 일상 대신 슬기로울 ‘응애즈’의 성장이 감동을 선사할 전망이다. ‘보호자’를 자처한 신원호 크리에이터의 바람대로, 이들의 진심이 곡해되지 않고 안방에 고스란히 전달될 수 있을까.10일 서울 신도림동 라마다호텔에서 tvN 새 토일드라마 ‘언젠가는 슬기로울 전공의생활’(이하 ‘언슬전’, 연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