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11일 (금)
ADHD 환자 4년 만에 2배 증가… “방치하면 안 돼요”

ADHD 환자 4년 만에 2배 증가… “방치하면 안 돼요”

기사승인 2023-03-02 12:00:02
쿠키뉴스 자료사진
신승헌 기자
ssh@kukinews.com

활동성 및 주의력 장애(ADHD)로 병의원을 찾는 사람이 4년 만에 두 배 가까이 늘었다. 

ADHD는 주의력이 부족해 산만하고, 지나치거나 비정상적일 정도로 과다활동을 하는가 하면, 충동성을 보이는 상태가 꾸준한 걸 말한다. 주로 아동기에 나타나는 비교적 흔한 신경발달질환이다. 발병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다양한 유전 및 환경적 요인이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할 뿐이다.  

2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ADHD로 진료 받은 환자는 지난 2017년 5만3056명에서 2021년 10만2322명으로 4만9266명 많아졌다. 연간 환자 수가 연평균 17.8% 늘어 4년 만에 두 배 가까이(92.9%)이 증가한 것이다. 특히 같은 기간 동안 남성 환자가 70.4%(4만2453→7만2332명) 늘어날 동안 여성 환자는 182.8%(1만603→2만9990명) 증가했다.

인구 10만명당 환자 추이도 비슷하다. 10만명당 ADHD 환자 수는 2017년 104명에서 2021년 199명으로 91.3% 늘었다. 10만명당 ADHD 환자 수 역시 여성 증가율(178.6%)이 남성(69.3%)보다 뚜렷하게 높다.

연령별로 보면 2021년 전체 진료인원 10만2322명 중 10대가 41.3%(4만2265명)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는 9세 이하(23.8%, 2만4331명), 20대(21.6%, 2만2132명) 순이었다. 
  
10대 ADHD 환자가 많은 이유는 뭘까. 안재은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교수(정신건강의학과)는 2일 “ADHD는 보통 초등학교 입학 후 진단되고, 진단 후 수년간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또 “초등학교 저학년 때에는 증상을 보여도 크면 나아질 것이라는 생각에 지켜보다가, 고학년이 돼 진료를 시작하는 경우도 많다”고 설명했다.   

ADHD는 과잉행동, 충동성, 주의력 결핍이 주요 증상이다. 감정 조절과 대인 관계의 어려움, 학습 및 수행 능력 저하 등이 나타나기도 한다. 안 교수는 이런 증상이 나타나는 활동성 및 주의력 장애를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위험하다고 경고했다.

그는 “이전에는 성인이 되면 증상이 호전된다고 알려졌지만, 연구 결과 60% 이상은 성인이 돼도 증상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적절한 치료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학교 및 직장 생활 적응, 대인 관계,건강관리, 재정관리 등 삶의 여러 영역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말했다. 

신승헌 기자 ssh@kukinews.com
신승헌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나경원 “이번 대선은 체제전쟁…이재명 꺾을 것”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이 "위험한 이재명을 꺾고 승리의 역사를 만들겠다"며 대선 출마를 공식 선언했다.나 의원은 11일 오후 2시쯤 국회 본청 계단 앞에서 '제21대 대통령 선거 출마 선언'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말했다. 이어서 그는 "무너져가는 대한민국을 바로 세우고 진정한 국민 승리의 시대를 열겠다"고 덧붙였다. 나 의원은 이번 대통령 선거를 '체제 전쟁'에 비유하며 "자유 대한민국을 지켜낼 것이냐, 아니면 반자유·반헌법 세력에게 대한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