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자동차 안전성 시험 어디까지 왔을까 [가봤더니]

국내 자동차 안전성 시험 어디까지 왔을까 [가봤더니]

기사승인 2023-03-26 12:00:02
한국교통안전공단(TS) 자동차안전연구원(KATRI)이 충돌시험한 차량들.   사진=조은비 기자 

“수시로 실험 합니다”

지난 23일 한국교통안전공단(TS) 자동차안전연구원(KATRI)에서는 자동차 충돌시험 및 배터리 낙하시험 시연이 있었다. 이날 시연을 담당한 안전연구처 장형진 연구위원은 “최대한 많은 차를 대상으로 수시로 테스트하고 있다”고 말했다. 

자동차안전연구원은 전기차를 대상으로 여러 충돌 시험을 통해 안정성을 검증하고 있다. 기둥 측면 충돌, 측면 충돌, 부분정면 충돌 등 여러 경우의 수를 가정해 외부 충격에 의한 화재 가능성과 전해액 노출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아우디 e-tron(전기차) 후방 충돌 시험 모습.   사진=조은비 기자 

 

이날 진행된 충돌시험에는 아우디 e-tron(전기차) 후방 충돌시험이 이뤄졌다. 후방 충돌 시 배터리 손상으로 인한 연료 노출이 위험 요소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정차된 아우디 차량은 48km/h에 달하는 속도로 충돌하자 큰 소리를 내며 앞으로 나갔다. 장 연구위원은 “시험을 통해 충돌로 인한 충격량을 감지하고, 고전압 배터리 릴레이가 차단되어 고전압 자체 전원이 흐르지 않는지 확인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충돌 시험 이후 차량 하부가 찌그러졌지만, 전해액은 노출되지 않았다. 안전 기준 항목에 따라 전해액 노출이 전체의 7%를 넘으면 부적합 판정을 받는다고 설명했다. 

충돌 시험 이후 운전석 문이 열리는지도 함께 확인했다. 테슬라 차사고 이후 운전석과 조수석 문이 열리지 않아 탈출하지 못해 숨지는 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 사고가 나더라도 전기 공급 여부와 상관없이 수동으로 차량 문을 열고 빠져나올 수 있는지, 문 잠금이 제대로 해제됐는지 여부는 연구가 더 필요한 부분이다. 

전자파 실험실 내부 모습.   사진=조은비 기자 

 

전자파 실험실도 방문했다. 이 실험실에서는 차량에서 나오는 전자파의 세기가 적합한지, 차량에 전자파를 인가했을 때 정상적으로 차량이 작동하는지 내성을 확인한다. 자동차안전연구원은 전기차를 충전하는 동안 방사 및 내성 시험도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진행하고 있는 시험을 바탕으로 국제 기준을 맞춰나가고 조율하고 있다고 전했다. 추후 자동차 개발에 따라 기준도 변화될 것으로 보인다. 

배터리 낙하 시험 모습.   사진=조은비 기자 

 

“저희가 최초로 만들었습니다”

차량 하부에(배터리) 직접적인 충격이 가해졌을 때 안전한지 살펴보기 위해 4.9미터 높이에서 약 36km/h로 배터리를 낙하하는 실험도 이뤄졌다. 미래차연구처 문보현 책임연구원은 “배터리 낙하 시험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자동차안전연구원에서만 진행한다”고 전했다. 

문 책임연구원은 “배터리 낙하 시험뿐만 아니라 바닷물과 동일한 염도에 배터리를 침수시켜 폭발이 일어나는지에 대해서도 실험했다”며 “발화 폭발이 없었고, 국내에 운용되는 전기차는 바다에 빠져도 불이 나지 않으니 믿고 타셔도 된다”고 설명했다. 

“리콜 증가는 대처를 잘 한다는 의미”

1~2년 사이 리콜 수치가 늘어난 현상에 대해 리콜정책처 이영석 연구위원은 “대처를 잘 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내 전기자동차 리콜 현황 통계에 따르면 2020년 7건, 2021년 42건, 2022년 67건으로 대폭 증가했다. 

이 연구위원은 “과거에는 제작사들이 자발적으로 리콜하지 않았다”며 “요즘은 제작사에서 스스로 리콜을 요청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여기에 소비자들의 니즈를 맞추기 위해 리콜을 유도하는 경우와 소비자들이 불편하다고 느껴 리콜을 요청하는 건수가 더해져 신고 건수가 늘어났다는 것이다.  

이 연구위원은 “리콜 건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며 “국가적으로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고 자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밖에도 이날 기상환경재현시설과 자동긴급동(AEBS) 시험도 이루어졌다. 

내연기관차에 맞춰진 안전 시설물 

여러 안전 시험을 거쳐 전기차 시대를 준비하고 있지만, 기존 시설들에 대한 정비는 부족한 상황이다. 현재 도로와 관련된 규정들이 내연기관차에 맞춰져 있기 때문이다. 자동차안전연구원 측은 “도로공사의 도로교통연구원, 도로건설 연구원 등의 주축으로 이루어져 왔다”며 “중앙분리대, 방호시설, 충격흡수시설 등 면밀한 검토가 필요한 부분”이라고 말했다. 

자동차안전연구원은 ‘감전 위험’에 대해 연구와 검토를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배터리에 충격이 감지되면 동력장치, 차량 등에 전기가 흐르지 않도록 해 감전 위험에서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조은비 기자 silver_b@kukinews.com

조은비서명
조은비 기자
silver_b@kukinews.com
조은비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