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14일 (수)
산업계 “비대면진료 시범사업안, 사형선고 다름없어”

산업계 “비대면진료 시범사업안, 사형선고 다름없어”

원격의료산업협의회, 19일 성명문 발표
30일 이내 대면진료자·초진 대상 ‘제한적’ 비판
“재진·초진 대상 재정의 등 전면 재검토해야”

기사승인 2023-05-19 12:24:18 업데이트 2023-05-19 12:25:03
지난 12일 원격의료산업협의회는 긴급기자회견을 갖고 비대면진료 시범사업에 대한 산업계 의견을 표명했다.   원격의료산업협의회
박선혜 기자
betough@kukinews.com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비대면진료 사범사업안에 대해 산업계가 ‘비대면진료에 대한 사형선고’나 다름없다며 전면 재검토를 촉구하고 나섰다. 

원격의료산업협의회는 19일 성명문을 내고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비대면진료 시범사업안은 실제 비대면진료의 전달체계는 전혀 고려하지 않은, 반(反) 비대면진료 사업이자, 비대면진료에 대한 사형선고”라며 “시범사업안을 철회하고 재검토하라”고 주장했다.

지난 17일 전해진 보건복지부의 시범사업안에 따르면 비대면진료는 △30일 이내 △동일 병원에서 △동일한 질환으로 △1회 이상 대면진료를 받은 이력이 있어야만 받을 수 있게 된다. 초진 환자 및 의약품 배송 대상에 대해서는 야간·공휴일에 병원을 이용하는 소아, 65세 이상이거나 장애인 거동불편자, 섬·벽지 거주자 등으로 논의 중에 있다. 

협의회는 “병원 방문이 어려워서 비대면으로 의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국민에게, 접근 자체가 어려운 대면진료부터 받으라고 하는 것은 심각한 모순”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초진 범위는 극도로 제한적이고, 의약품은 동일한 약을 반복 처방받는 만성질환자조차 이용할 수 없게 해놨다”며 “이는 의료접근성 증진이 목적인 비대면진료 본질을 훼손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협의회는 이런 환경에서 민간이 제공하던 비대면진료 서비스는 결국 폐업 수순을 밟을 수 밖에 없으며, 모든 피해는 국민에게 돌아갈 것이라고 전했다.

협의회는 “비대면진료 재진을 재정의하고 초진 허용 범위를 확대해 국민 진료 선택권을 보장하고 의료접근성을 제고할 수 있는 시범사업을 다시 마련해야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원격의료산업협의회는 지난 2021년 7월 출범해 현재 총 18개의 회원사가 참여 중이다. 협의회는 사회적 합의에 기반한 비대면진료 제도화를 위해 다양한 활동을 개진해 나갈 예정이다.

박선혜 기자 betough@kukinews.com
박선혜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희귀난치성 환자, 의약품 ‘면세’ 길 열리나…“생존권 보장해야”

#은 기존 의 줄임말로 법안에 대해 쉽게 풀어낸 새로운 코너입니다. 일하는 국회를 만들겠다는 22대 국회의원들의 법안들을 편하게 전달하고자 합니다. 희귀난치성 환자의 ‘자가의약품’ 세금이 생존권을 위협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자가의약품은 희소성으로 가격이 높아 관련 세금도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한다. 현행법은 희귀난치성 환자의 자가의약품과 일반의약품의 세금을 같은 수준으로 책정하고 있다.13일 정치권에 따르면 희귀난치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