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23일 (금)
의사 많은 서울, 의사 더 몰려… “지역별 양극화 대책 세워야”

의사 많은 서울, 의사 더 몰려… “지역별 양극화 대책 세워야”

신현영 의원 “지방의료 활성화를 위해 지역수가 포함 등 대책 마련 필요”

기사승인 2023-06-09 11:09:23
사진=박효상 기자
김은빈 기자
eunbeen1123@kukinews.com

지역별 활동 의료인력의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신현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10년간 지역별 활동 의사·간호사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인구 1000명당 활동 의사가 많은 지역일수록 의사, 간호사 수가 추가로 더 늘어나는 양상을 보였다.

서울의 경우 2022년 인구 1000명당 활동 의사 수는 3.47명으로 밀집도가 가장 높았다. 의사 증감 현황 역시 2013년 대비 0.80명 늘며 다른 지역에 비해 증가량이 가장 컸다.

최근 10년 지역별 활동 의사 증감 현황.   신현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활동 의사 수가 상위권인 지역은 △서울 3.47명 △대구 2.62명 △광주 2.62명 순으로 조사됐고, 증가량 역시 2013년 대비 △서울 0.80명 △대구 0.58명 △광주 0.51명 순으로 높았다.

반면 의사가 적은 지역은 증가량도 낮았다. 활동 의사 수가 하위권인 지역은 ▲경북 1.39명 ▲충남 1.53명 ▲충북 1.59명 순이었는데, 증가량도 ▲경북 0.14명 ▲충남 0.18명 ▲충북 0.20명 순으로 적었다.

간호사 인력도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인구 1000명당 활동 간호사 수는 ▲광주 6.95명 ▲서울 6.55명 ▲대구 6.54명 순으로 많았다. 2013년 대비 증가량 역시 △대구 3.27명 ▲광주 3.26명, ▲서울 3.08명 순이었다. 활동 간호사 수가 가장 적게 증가한 지역은 ▲제주 1.28명, ▲충북 1.36명 ▲경북 1.55명 순으로 나타났다.

신 의원은 “시간이 갈수록 의료인력의 지역별 양극화 현상이 악화되는 상황에서 의료취약지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대책이 절실한 상황”이라며 “필수의료 붕괴, 수도권 병상 쏠림 현상 등 지역 균형 발전을 저해하는 원인을 분석하고 지방의료 활성화를 위한 지역수가 포함 등 특단의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시기”라고 지적했다.

이어 “진료량, 환자 수요, 의료 공급의 적정성 등 다양한 지표를 기반으로 체계적인 근거를 통한 지역별 적정 의료인력을 추계하고, 필요한 지역부터 우선순위로 의료인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제도를 설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은빈 기자 eunbeen1123@kukinews.com
김은빈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무적함대’ 젠지, 16연승 질주…MSI 1시드 결정전 직행

‘무적함대’ 젠지가 압도적인 경기력을 선보이며 개막 16연승을 질주했다.젠지는 23일 오후 5시 서울 종로구 롤파크 LCK 아레나에서 열린 ‘2025 LCK’ 정규시즌 2라운드 DRX와 경기에서 세트스코어 2-0으로 승리했다. 16연승을 달린 젠지는 MSI(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 1시드 결정전 직행을 확정했다. 반면 DRX는 이날 패배로 ‘로드 투 MSI’ 진출에 실패하며 3~5라운드를 라이즈 그룹에서 치르게 됐다.젠지가 1세트 초반부터 DRX를 압박했다. 바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