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이 아닌 노인이 체중이 줄면 치매 전조 증상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준영, 김근유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와 김어수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연구팀은 체중 변화와 치매의 관계가 비만 여부에 따라 다를 수 있다는 가설에 착안해 국가 노인 코호트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비만 여부는 체질량지수(이하 BMI)로, 복부 비만은 허리둘레에 따라 정의해 65세 이상 대상자 4600여명의 1년간 체중 변화와 이후 4년간 치매 발병 여부를 조사했다. BMI가 25kg/㎡ 이상이면 비만으로, 허리둘레 남자 90cm, 여자 85cm 이상이면 복부 비만으로 간주했다.
그 결과, 비만이 아닌 대상자의 경우 1년간 BMI가 1%씩 감소할수록 치매 발병 위험이 3.3%씩 늘고, 특히 알츠하이머병의 발병 위험도는 4.8%씩 증가했다. 다만 비만인 대상자의 BMI 감소와 치매 발병 위험도는 연관성이 없었다. 비만인 상태에서는 허리둘레가 이전보다 감소했을 때 알츠하이머 발생률이 낮아졌다.
김근유 교수(제1저자)는 “후각과 식욕을 담당하는 뇌신경세포의 퇴행으로 인해 체중 감소가 선행하고 이후 인지장애 증상이 드러날 수도 있으나, 지방 조직량 외에 신경보호 역할을 하는 근육량도 BMI 지수에 포함되기 때문에 근육량의 정도가 연구 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BMI보다 지방량이 더 잘 반영되는 허리둘레의 감소는 오히려 알츠하이머 치매 위험을 줄여 이런 가설을 뒷받침한다”고 설명했다.
근육량을 포함해 적정 체중과 좋은 영양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살이 빠지는 것’보다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된다는 설명이다. 살이 빠진다는 의미는 몸무게가 아닌 복부지방을 두고 하는 말이다. 김 교수는 노년기에는 적절한 영양 섭취와 함께 근육량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 연구를 통해 노년기 비만 유무에 따른 BMI 또는 허리둘레의 감소와 치매 발병률의 연관성을 최초로 규명했다”면서 “체중감소는 비만이 아닌 경우에만 치매의 전조 증상으로 간주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전했다.
김 교수는 “본 연구에서 관찰한 대상자들의 체중감소 원인을 알 수는 없었다”며 “운동이나 식이조절로 인한 의도적 체중감량이 치매 발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추후 연구에서 규명돼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선혜 기자 betough@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