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한시적 공매도 금지 조치를 두고 수급 중심의 ‘숏커버(환매수)’ 테마 투자전략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온다. 이후 국내 증시 흐름은 미 증시나 금리를 따라갈 것으로 전망된다.
김정윤 대신증권 연구원은 7일 한시적 공매도 금지 조치와 관련해 ”이번 공매도 전면 금지 조치는 증시에 대한 안전핀 역할로 보기보다는 오로지 수급에 의해 움직이는 숏커버(환매수) 테마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과거 △금융위기(금지기간 2008년 10월1일~2009년 5월31일) △유럽 재정위기(금지기간 2011년 8월10일~2011년 11월9일) △코로나19(금지기간 2020년 3월16일~2021년 5월2일) 등 총 3번에 걸쳐 공매도를 금지한 바 있다.
김 연구원은 과거 위기 상황에서 금융시장 부양을 위해 공매도 금지가 일정 부분 ‘안전핀’ 역할을 했으나, 이번에는 과거 사례와 성격이 다른 것으로 분석했다.
그는 ”6개월 고점 대비 하락 폭을 보면 지난 10월 말 -14.6%를 기록했고, 2000년 이후 전체 추이를 보면 대형 위기 수준이 아니라 흔하게 나타난 가격 조정이라고 볼 수 있다“면서 ”대형 글로벌 위기가 아닌 시점에서 공매도 전면 금지 조치가 나온 것은 이례적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이번 조치가 과거 사례처럼 증시 안전핀 역할을 하기보다 숏커버 중심의 대응이 이뤄질 것으로 봤다.
김 연구원은 ”주가는 결국 펀더멘탈(기초여건)을 따라간다“면서 올해 있었던 초전도체 등 특정 테마·업종 수급 쏠림 현상, 전날의 2차전지 급등세 등을 예로 들며 “때로는 펀더멘탈로 설명이 되지 않는 단순 수급에 의한 자율 반등이 예상으로 큰 폭으로 나타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번 공매도 전면 금지 조치는 숏커버 테마 투자전략으로의 접근이 유효하다”고 덧붙였다.
김종영 IBK투자증권 연구원 역시 “2020년 3월 공매도 금지 이후 상승 사례는 극심한 공포감으로 주식 시장이 하락함에 따라 미국 등 선진국의 재정·통화정책이 연거푸 발표되면서 시장이 반등한 사례”라며 “공매도 금지에 의한 주가 상승보다는 금리, 유동성 환경이 완화되면서 시장이 회복했다고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전날 코스피·코스닥 지수의 급등에 대해서는 “공교롭게 최근 금리 하락 가능성이 대두 됐기 때문에 급등한 것”이라며 “과거 세 차례 공매도 금지 이후 코스피는 미국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와 동행했다. 따라서 이번에도 코스피의 중장기 방향성은 미국 증시가 결정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아울러 김종영 연구원은 “미국 증시 역시 금리에 높은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에 결국 공매도 금지 조치보다 금리의 방향성이 더 중요한 국면”이라고 강조했다.
조계원 기자 chokw@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