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화 우려로 건설주가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투자업계에서는 일부 건설사들의 유동성 리스크 현실화 가능성을 제기하면서도 전체적인 PF 시스템 위험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낮다고 평가한다.
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주요 건설업 종목들을 담은 KRX 건설지수는 전날 656.95로 장을 마감했다. 지난달 초 680.91 대비 3.51% 감소한 수준이다.
앞서 KRX 건설지수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로 지난해 11월 한 달 동안 10.9% 상승했다. 그러나 태영건설 워크아웃 사태 영향에 하락세로 전환했다.
건설지수의 부진에도 불구하고 정작 사태의 시발점인 태영건설과 태영건설 우선주는 오히려 급등했다. 특히 주가 급등과 급락을 번복하는 일명 ‘롤러코스터’ 흐름을 나타냈다.
태영건설은 워크아웃 신청 전망이 제기된 지난달 27일 전 거래일 대비 19.56% 급락한 2405원으로 집계됐다. 반면 태영건설이 채권단을 상대로 설명회를 개최한 이달 3일에는 23.85% 상승했다.
다음 거래일인 4일에는 개장 직후 18% 급락했으나 장중 낙폭을 일부 되돌린 3070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9일까지 태영건설 주가는 43.03% 증가한 3440원까지 치솟았다. 같은 기간 우선주인 태영건설우도 148.64% 오른 7820원으로 확인됐다.
이같은 태영건설 관련주들의 극심한 주가 변동성은 시세차익 실현을 노리는 ‘단타족’들의 대거 유입이 원인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말 이후 태영건설 한 종목에 대한 개인의 매수·매도 비중은 87~91%로, 외국인(7~11%)과 기관(0~1%)을 추월했다.
하지만 태영건설은 주가 상승률과 달리 짊어진 리스크가 상당하다. 태영건설과 채권단 사이 입장차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지 못한다면 태영건설은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 수순으로 가게 된다. 이 경우 회생절차 개시 결정일까지 매매가 정지된다. 이후 회생절차 개시 신청이 법원에서 기각되거나 개시 결정이 취소될 시 상장폐지로 연결된다.
불안정한 상황 속에 시장에서는 자금 사정이 녹록지 않은 일부 건설사의 유동성 리스크 현실화 가능성을 제기한다. 배세호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부동산 경기 침체와 공사비 급등이 맞물려 중소형 건설사를 중심으로 단기 유동성 자금 확보가 중요해졌다”며 “태영건설 사태로 중소형 건설사의 단기 자금 조달이 더욱 어려워질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배 연구원은 “간접적으로는 건설사들의 단기 자금 융통이 경색될 수 있다”며 “자산유동화기업어음(PF ABCP), 전자단기사채(ABSTB) 등 단기사채들의 차환 발행 어려움이 생길 수 있다”고 덧붙였다.
다만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이슈가 PF 시스템 리스크로 이어질 가능성은 낮다는 분석도 나온다. IBK투자증권은 태영건설의 PF 보증규모를 지난해 11월말 별도 기준 총 3조6000억원으로 분석했다. 세부적으로 착공 PF 2조4000억원, 미착공 PF 1조2000억원 등으로 구성됐다. 이중 분양률 75% 이상인 주거용 주택 착공 PF 규모는 1조20000억원에 그쳤다.
조정현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현시점에서 가장 우려되는 점은 PF 차환이다”며 “과거 2008년 당시 상장 건설사 기준 PF 잔액 규모는 당해 4분기 기준 41조5000억원에서 이듬해 1분기 35조6000억원으로 차환 리스크가 발생했다. 이는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인한 자금 경색, 과거 경험 부족으로 인한 대처 미숙에 따른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현재 상황에서 건설사들은 타 업권 대비 자금유통이 어려운 상황이나, 급격한 유동성 흡수 시기가 지난만큼 단기간 과거와 같은 대규모 차환 리스크 발생 가능성은 낮다”며 “기존 시장안정 프로그램과 채안펀드 증액 조치에 따라 연착률을 기대한다”고 부연했다.
이창희 기자 window@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