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19일 (월)
'전국 유일 사찰 낙화법' 세종시 무형문화재 지정

'전국 유일 사찰 낙화법' 세종시 무형문화재 지정

24일 영평사에서 정월대보름 낙화행사 시연

기사승인 2024-02-14 09:25:55
세종시가 사찰에서 낙화를 태우며 재앙소멸과 복을 기원하는 ‘세종 불교 낙화법’을 시 무형문화재로 지정했다고 14일 밝혔다.

세종 영평사에서 열린 낙화봉 점화 행사. 세종시
이재형 기자
jh@kukinews.com

세종 불교 낙화법은 사찰에서 제작한 낙화봉을 태우며 재앙소멸과 구복을 기원하는 의례로, 축제 때 태우는 낙화놀이와 구별된다.

현재 사찰 낙화법은 세종이 유일한 사례로 알려졌다.

세종 불교 낙화법은 구전이 아닌 영평사에 소장된 ‘오대진언집’에 절차가 묵서된 것이 특징이다.

낙화봉은 종이, 숯, 소금, 향의 재료에 축원 후 제작한다.

낙화봉 제작 모습. 세종시

의례는 예비의식, 본의식, 소재(消災), 축원과 회향 순으로 진행된다. 

낙화에 불을 붙이고 ‘수구즉득다라니’ 등을 염송하며 재난·재앙 예방과 의식에 참여한 모든 이들을 축원하며 의례를 마친다.

시는 이번 무형문화재로 지정과 함께 불교낙화법보존회를 보유단체로 인정했다.

불교낙화법보존회는 세종 불교 낙화법을 전형대로 구현할 수 있는 능력을 갖췄고, 전승 의지와 기량이 탁월한 점을 인정받았다.

시는 이를 계기로 지역의 특색 있는 무형문화유산을 발굴하고 전승할 방침이다.

김려수 시 문화체육관광국장은 “세종 불교 낙화법은 사찰에서 봉행되는 국내 유일 사례로, 전승 보전을 통해 지역 정체성 확립에 기여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지역유산 발굴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역사문화도시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한편 불교낙화법보존회는 오는 24일 영평사에서 무형문화재 지정 기념 정월대보름 행사를 진행한다.

세종=이재형 기자 jh@kukinews.com
이재형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경찰, ‘손흥민 협박녀’ 임신중절 확인…친부 확인은 안 돼

경찰이 축구 국가대표팀 주장 손흥민(33·토트넘 홋스퍼)의 아이를 임신했다고 주장하며 돈을 뜯어내려 한 여성의 임신 중절 이력을 확인했다.19일 경찰 등에 따르면 서울 강남경찰서는 20대 여성 양모씨의 병원 기록을 통해 실제 임신 및 중절 수술 기록을 확보했다. 또한 양씨가 손흥민에게 보낸 초음파 사진도 양씨의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아이 친부가 누구인지는 파악되지 않았다.양씨는 지난해 6월 손흥민 측에 초음파 사진을 보내 임신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