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6일 (일)
국립수산과학원, 올해 처음 산소부족 물덩어리 발생..피해 우려

국립수산과학원, 올해 처음 산소부족 물덩어리 발생..피해 우려

기사승인 2024-05-24 11:28:09 업데이트 2024-05-27 15:20:33
지난 5월 22~23일 실시된 수과원의 현장조사에서 용존산소 농도 1.55~2.83 mg/L의 산소부족 물덩어리가 진해만 해역 저층에서 관측되었다.

* 산소부족 물덩어리(빈산소수괴): 바닷물에 녹아있는 산소 농도가 3㎎/L 이하인 물덩어리로 어·패류의 호흡 활동을 방해하여 양식생물 피해를 유발함


빈산소수괴 발생 현황 이미지.국립수산과학원
최광수 기자
anggi4@kukinews.com

산소부족 물덩어리는 해수순환이 원활하지 못한 반폐쇄성 내만(內灣)에서 표층과 저층의 수온 차이가 큰 여름철에 주로 발생한다.

표층 수온 상승으로 성층(수온약층)이 생기면 표층수와 저층수가 잘 섞이지 않아 표층에서 저층으로의 산소 공급이 단절된다.

또한 저층 수온이 15℃∼16℃에 이르면 저층 퇴적물에 있는 미생물이 유기물을 활발히 분해하면서 해수에 녹아있는 용존산소를 급격히 소모하기 때문에 산소부족 물덩어리가 발생하게 된다.

용존산소 수온 염분 분포 추이.국립수산과학원

이러한 현상은 주로 바닷물 순환이 원활하지 못한 내만에서 발생하여 양식생물의 폐사를 일으키는 등 양식어업에 피해를 주고 있다.

남해 연안에서는 매년 5월 말~6월 초에 산소부족 물덩어리가 발생하여 9월 말~10월 초에 소멸하는 경향이 있는데, 올해도 작년(5월 24일)과 비슷한 시기에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직 발생 초기라 일부 해역에만 분포하고 있으나, 향후 수온 상승으로 산소부족 물덩어리가 두꺼워져 표층 근처까지 확장되고, 발생 범위도 주변 해역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최용석 국립수산과학원장은 “ICT 기반 관측시스템과 현장조사를 통해 산소부족 물덩어리에 대한 속보와 정보를 신속히 제공하여 어업인들이 피해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말했다.

부산=최광수 기자 anggi4@kukinews.com
최광수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MLB 적응 마친 이정후, 3안타 폭발…3할 타율 진입

이정후(26)의 방망이가 심상치 않다. 개막 후 6경기 연속 안타 행진 및 3안타 경기를 만들며 컨디션을 끌어올렸다. 타율은 어느덧 3할대다.이정후는 6일(한국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오라클 파크에서 열린 ‘2025 미국 프로야구 메이저리그(MLB)’ 시애틀 매리너스와 홈경기에서 3번 타자 중견수로 선발 출전해 4타수 3안타 2득점 도루 1개를 기록했다. 샌프란시스코는 이정후의 맹활약에 힘입어 4-1로 승리했고, 6연승을 달리며 내셔널리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