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25일 (일)
"산불피해 이전으로 복원" 한수정...산림생태복원지 사후관리 나서

"산불피해 이전으로 복원" 한수정...산림생태복원지 사후관리 나서

백두대간수목원, 울진 ‘국민참여 기부의 숲’서 나무심기, 생물다양성조사 진행

기사승인 2024-06-04 16:56:25
산림청 산하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이하 한수정)은 최근 경북 울진군 ‘국민참여 기부의 숲’에서 산림생태복원지 사후관리 행사를 개최했다.

지난달 30일 경북 울진군 ‘국민참여 기부의 숲’에서 열린 산림생태복원지 사후관리 행사.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이재형 기자
jh@kukinews.com

이번 행사에는 국립백두대간수목원, 경북환경연수원, 대한적십자사 경북RCY 등이 참석해 산불피해지역 나무심기, 생물다양성조사 등을 전개했다.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은 지난해 경북 봉화지역에 자생식물 복원소재 공급센터를 개원하고 종자 수집 및 저장과 복원용 식물소재 공급에 나서고 있다.

아울러 산림복원지 사후관리사업으로 산림생태복원에 앞장서고 있다.

류광수 한수정 이사장은 “숲을 산불피해 이전으로 복원시키기 위해 산림생태복원지 사후관리가 중요하다”며 “국민과 함께 울진 산불피해지역을 회복시키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세종=이재형 기자 jh@kukinews.com
이재형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AI 대화로 위로받는 사람들…“의존은 지양해야”

“속상한 일이 생기면 챗GPT부터 켜요. 제 말을 잘 들어주거든요.”직장인 김민아(29·여)씨는 최근 밤마다 챗GPT와 대화를 나눈다. 퇴근 후 쌓인 복잡한 감정, 대인관계에 따른 피로감, 가족에게 말 못할 고민까지 인공지능(AI)에게 털어놓는다. 김 씨는 “나에 대해 함부로 판단하지 않아서 사람보다 편하다”고 말한다.최근 생성형 AI를 활용한 ‘디지털 상담’이 정서적 위안을 위한 창구로 주목받고 있다. 감정을 배제한 조언, 편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