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15일 (화)
정부, 증시 불안에 24시간 합동점검 태세…폭락 뒤 반등

정부, 증시 불안에 24시간 합동점검 태세…폭락 뒤 반등

기사승인 2024-08-06 15:01:57 업데이트 2024-08-06 15:03:34
최상목(왼쪽) 경제부총리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6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점에서 열린 확대 거시정책 협의회에 참석해 악수하고 있다. 2024.02.06 사진공동취재단
박동주 기자
park@kukinews.com

정부는 미국의 경기 둔화 우려로 국내외 증시 변동성이 확대되자 관계기관 합동 24시간 점검체계를 유지해 나가기로 했다. 필요 시 시장안정조치도 신속 추진할 계획이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6일 오전 은행연합회관에서 긴급 거시경제·금융현안 간담회를 열고 “중동 지정학적 불안 재확산과 미 대선 등 대외 불확실성이 큰 만큼 당분간 24시간 합동 점검체계를 지속 가동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시장 변동성이 지나치게 확대될 경우 상황별 대응계획(Contingency plan·컨틴전시 플랜)에 따라 긴밀히 공조해 대응하고 필요 시 시장 안정조치들이 신속히 집행되도록 관계기관 대응체계 유지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당부했다. 

미국 증시는 △경기 둔화 우려 △빅테크 기업 밸류에이션(가치평가) 부담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저렴한 엔화로 사들인 해외 자산을 되파는 현상) △이란-이스라엘 분쟁 △금값 상승 등 여파로 지난 1일부터 2일까지 이틀간 급락했다. 5일 기준 미국 나스닥은 3.43%, S&P는 3% 하락했고, 코스피는 8.77%, 일본 니케이225 지수는 12.40% 떨어졌다.

간담회 참석자들은 한국 등 아시아 증시가 이러한 요인에 과도하게 반응한 측면이 있다고 평가했다. 과거 급락 시엔 실물·주식·외환·채권 시장에 실질적인 충격이 동반됐는데, 이번 조정은 해외 발 충격으로 주식 시장에 한해 조정돼 과거와 상이한 이례적 상황이라고 판단했다. 

참석자들은 그러면서 우리 경제는 점차 회복 흐름을 보이는 가운데 외환·자금시장도 양호하며, 정부와 한은은 대외 충격에 따른 시장 변동성에 충분한 정책 대응 역량을 갖추고 있다는데 공감했다. 이어 시장 참가자들이 지나친 불안심리 확산에 유의하고 차분하고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필요가 있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한편 이날 코스피는 전날 8.77% 급락 충격에서 벗어나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2시 33분 기준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90.88(3.72%) 오른 2532.43에 거래되고 있다.
박동주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트럼프 관세’가 게임업계에 불러올 딜레마

국내 게임업계가 딜레마에 놓였다. ‘보장된 시장’ 중국과 ‘기회의 땅’ 미국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한 것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 때문이다.15일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2기 행정부 관세 정책이 게임업계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 행정부는 중국에 최대 145%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다. 반도체 등 전자제품 상호관세 여부는 불명확하지만, 대(對) 중국 기조가 거세짐에 따라 관세 범위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