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7일 (수)
낙동강하구 공원의 제1호 국가도시공원 지정을 위한 '첫걸음'

낙동강하구 공원의 제1호 국가도시공원 지정을 위한 '첫걸음'

◈ 을숙도, 맥도생태공원 일원을 도시관리계획(시설:공원) 결정을 통해 도시공원 지정을 완료('24.9.25. 고시)함으로써 자연을 보존하고 체계적으로 토지이용을 관리할 수 있게 돼

기사승인 2024-10-10 09:21:58 업데이트 2024-10-10 09:22:26
부산시는 낙동강하구 공원의 도시관리계획 결정 및 지형도면 고시를 통해 국가도시공원 지정을 위한 중요한 첫걸음을 내딛었다고 밝혔다.

국가도시정원 예상 위치도.부산시
최광수 기자
anggi4@kukinews.com

낙동강하구 공원은 부산의 대표적인 생태공원으로, 낙동강하구에 위치하며 다양한 식물과 동물들이 서식하고 있어 생태계의 중요한 거점(허브)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이 지역은 철새 도래지로도 유명하며, 생물 다양성을 보호하는 데 필수적인 공간으로 평가받고 있다.

공원 면적은 558만 제곱미터(㎡)로, 을숙도(321만㎡)와 맥도생태공원(237만㎡)을 합친 국내 최대 규모의 생태·습지 근린공원이다.

또한 이곳은 큰고니, 쇠제비갈매기 등이 월동, 번식하는 세계적인 철새도래지며, 바닷물과 강물이 만나 형성된 기수역에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자연 생태의 보고다.

낙동강하구 공원의 도시관리계획 결정으로 인해 시역내 조성된 도시공원의 전체 면적이 23.5퍼센트(%) 증가하게 됐으며, 조성이 완료된 맥도생태공원과 을숙도 일원을 공원으로 결정하게 됨에 따라 조성 비용 5,192억 원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발생했다. 또한, 공원녹지법으로 해당 도시공원의 자연을 보존하며 토지이용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됐다.
 
시는 낙동강하구 공원이 국가도시공원으로 지정되면 ▲생태계 보존 및 복원 ▲제1호 국가 도시공원의 관광 활성화로 인한 지역 경제 활성화 ▲시민의 여가 및 휴식 공간의 질적 향상 등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한다.

한편, 국가도시공원 지정을 위해서는 공원 부지의 소유권 확보, 면적 300만 제곱미터(㎡) 이상, 공원 관리 조직의 구성 등의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시는 이번 도시관리계획 결정을 시작으로 낙동강하구 공원을 국가도시공원으로 지정받기 위한 절차를 차질 없이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최광수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미복귀 의대생 ‘유급·제적’ 오늘 판가름…“추가 학사 유연화 없어”

교육부가 7일까지 각 대학에 정확한 의대생 복귀 규모를 보고하라고 통보한 가운데 의대생 10명 중 7명은 끝까지 돌아오지 않을 전망이다.이날 교육부에 따르면 정부가 제시한 의대생 유급·제적 마감시한은 이미 지났지만, 수업 참여율이 여전히 30%를 밑돌고 있다. 지난 2일 제적 예정 통보를 받은 순천향대, 을지대, 인제대, 차의과대, 건양대 등 5개 의대 고학년 1900여명 중 대다수가 뒤늦게 복귀 의사를 밝혔지만 더 이상 늘지 않고 있다.교육부는 전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