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21일 (수)
서울의대 교수들 “정부 의료개혁, 필수과 10년 방치 계획”

서울의대 교수들 “정부 의료개혁, 필수과 10년 방치 계획”

2~6월 상급종합병원 암 수술 16.3% 감소
“소신 진료 보장하면 필수의료진 늘어날 것”

기사승인 2024-10-25 12:56:40
서울의 한 의과대학 전경. 쿠키뉴스 자료사진
신대현 기자
sdh3698@kukinews.com

의과대학 입학 정원을 늘려 10년 뒤 필수의료 분야에서 일할 전문의를 양성하겠다는 정부 계획에 대해 서울대 의대 교수들이 “10년간 필수의료를 방치하겠다는 것”이라며 비판했다.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25일 보도자료를 내고 “상급종합병원에서 지난 2월부터 6월까지 실시한 암 수술은 16.3%(1만1181건) 감소했고, 심장 수술이나 장기이식 수술 등 중증 환자의 진료는 지금까지 비상사태다”라며 이같이 밝혔다.

비대위는 “산부인과, 흉부외과, 소아청소년과, 외과 등 소위 필수과의 경우 본인 전공과목을 진료하지 않는 비율이 38.7%에 이르고 있고, 정부의 의료개혁 추진 이후 모든 과에서 신규 전문의 배출이 중단됐으며 필수과 전공 의향도 감소했다”고 전했다.

이어 “정부는 전공의 복귀 없이 중증 환자 수술 건수를 회복할 수 있는 실현 가능한 대책을 제시해야 한다”면서 “불가능하다면 전공의가 복귀하도록 의료개혁 추진 방향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필수과 의사들이 소신껏 진료를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게 우선이라고 했다. 비대위는 “장상윤 대통령실 사회수석은 열성 경련 아이가 소아신경과 전문의가 없어 제때 진료받지 못했던 안타까운 사례를 필수과 의료진 양성이 필요한 이유로 들었지만, 소아과 의사가 소신껏 진료할 수 있는 여건이 있었다면 이런 문제는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비대위는 “최선을 다한 진료에도 의도치 않게 발생하는 의료사고는 필수과를 기피과로 만드는 가장 큰 원인”이라며 “불의의 사고를 겪은 환자에 대한 보상과 의료진의 소신 진료 모두를 충분히 보장할 수 있는 의료사고 안전망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대현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2차전지株 ‘52주 최저가’ 행진, 반등 시점도 ‘묘연’

국내 2차전지 관련주들의 주가가 하락세다. 대표 종목들은 52주 최저가를 기록했다. 미국 하원의 전기차 세액공제 폐지를 담은 제안서 발표가 주된 원인으로 분석된다. 증권가에서는 해당 제안서가 확정될 경우 2차전지 관련주들의 역성장이 불가피할 것으로 내다본다.2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날 국내 2차전지 대장주인 LG에너지솔루션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4.12% 하락한 27만9500원에 장을 마감했다. 장중 52주 최저가인 27만8000원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