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불황이 장기화되며 올해 상반기 내수기업 매출액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처음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사업보고서 제출 대상인 비금융업 법인 814개사의 개별재무제표 등 경영 성과를 분석한 결과, 올해 상반기 이들 기업의 전체 매출액은 지난해 동기 대비 6.7% 증가했다고 13일 밝혔다.
다만 이는 수출기업(194개)의 매출액이 13.6% 증가한 데 따른 것으로, 내수기업(620개)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9% 감소했다. 2020년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 4.2% 감소를 기록한 이후 첫 감소라는 설명이다.
앞서 내수기업의 전년 동기대비 매출액은 2020년 하락 이후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각각 10.6%, 25.4%, 3.9% 증가했다. 한경협은 한국은행의 기준으로 매출액 대비 수출 비중이 50% 이상인 기업을 수출기업, 미만인 기업을 내수기업으로 나누어 분석했다.
매출액이 줄어든 내수기업을 업종별로 보면 지주회사(-17.6%), 도소매업(-6.5%), 전기·가스·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5.5%), 제조업(-1.1%) 순이었다. 지주회사의 매출 감소는 자회사 실적 부진에 따른 배당 축소, 도소매업의 감소는 소비 부진의 영향이 컸다는 해석이다.
수출기업 매출이 반등(13.6%)하는 착시효과도 나타났다. 이는 1위기업의 실적회복 때문으로 분석됐다. 1위 기업인 삼성전자를 제외한 192개사만 보면 5.9% 증가에 그쳤다. 하지만 올해 상반기 수출기업 매출 증가세는 지난해 매출액 감소(-7.3%)에 따른 기저효과가 작용한 측면도 있다는 평가다.
고금리에 따른 취약기업 증가세도 두드러졌다. 수익성 지표인 ‘매출액영업이익률’은 올해 상반기 7.4%로 지난해(2.2%)보다 개선됐다. 기업의 매출액 대비 영업 관련 비용 비중은 지난해 97.8%로 2020년 이후 최대치였으나, 올해 상반기에는 최저치인 92.6%로 떨어졌다. 한경협은 내수기업은 올해 들어 매출액 1.9%가 줄고 영업이익은 흑자로 전환되는 ‘불황형 흑자’의 모습을 보여줬다고 덧붙였다.
올해 상반기 전체기업 중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도 갚지 못하는 ‘이자보상배율 1미만 기업(취약기업)’ 비중은 2020년 코로나 이후 최대치를 보였다. 2021년 33.8%였던 취약기업 비중은 올해 상반기 44.7%를 기록했다. 코로나19 이후 전세계적인 고금리 장기화로 이자비용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다.
기업 투자 역시 2020년 이후 처음으로 감소(-8.3%)했다. 전체 기업 투자 증가율은 2020년 16.9%에서 2022년 9.5%로 낮아졌다가 지난해 15.7%로 반등했으나 올해 들어 다시 대폭 줄었다. 이에 경제 전반의 성장 동력이 위축될 우려가 나온다고 한경협은 설명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내수 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글로벌 경기위축과 반도체 등 주력업종 하락 사이클 진입 등으로 지금의 수출 실적이 정점(peak)이 아니냐는 위기감도 커지고 있다”며 “가계 소비와 기업 투자 활성화를 위해 유연한 통화정책, 투자지원 확대, 규제 완화 등 전방위적인 경제살리기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