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6일 (일)
당진시, 자살률 대폭 감소… 도내 ‘6위→13위’로 향상

당진시, 자살률 대폭 감소… 도내 ‘6위→13위’로 향상

지역사회와 연계한 ‘생명지킴이’ 큰 역할
어려운 이웃 사회가 품어야

기사승인 2024-12-10 13:04:38
당진시 자살률 감소에 기여하고 있는 '생명지킴이'에 활동하고 있는 호서중 학생들. 당진시
이은성 기자
les7012@kukinews.com

충남 당진시가 통계청 자살 통계 분석 자료를 인용해 자살률 감소에 성과가 나타났다고 10일 밝혔다.

당진시 자살률은 2021년 39.2명에 이어 2023년 32.6명으로 꾸준히 감소세를 보이며 충남 도내 자살률 순위도 21년(6위)→23년(13위)*로 껑충 뛰어 올랐다. *순위는 역순으로 이해하면 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대한민국의 연령 표준화 자살률*은 24.8명으로, 이는 OECD 국가 전체 평균(10.7명)의 2배가 넘는 수치다.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에서 부동의 자살 사망률 1위로 차순위인 리투아니아는 17.1명으로 무려 7.7명의 차이를 보였다. * 국가 간 비교를 위해 OECD 기준인구로 연령 구조 차이를 제거한 자살률(인구 10만 명당 자살자 수)

2023년 기준 전국과 충청남도의 자살률*은 전년도 대비 각 8.3%, 9.9% 증가를 보였고 이에 정부는 코로나19 사태 후 사회적 고립과 경제난, 우울·불안 증가 등의 요인이 자살사망자 수 증가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 인구 10만 명 당 자살자 수

당진시 자살특성을 유형별로 보면, 남성이 여성보다 4배이상 높았으며 연령별로는 50대, 40대, 60대순으로 중장년층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동기는 경제적인 원인이 가장 많았고 정신, 신체적 원인이 뒤를 이었다.

자살률 감소에 큰 역할을 차지한 것에는‘생명지킴이’를 통해 자살 위험에 처한 주변인의 ‘신호’를 미리 파악해 지속적 관심을 보이며 전문기관 등의 협력으로 결과를 도출했다.

특히 시는‘생명지킴이’ 양성에 집중해 올 한 해 9160명을 신규 배출한데 이어 지금까지 누적 3만3259명이 활발히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이 같은 수치는 당진시 인구의 19.3%에 해당하며 이들은 자살예방 멘토링사업 등에 일조하고 있다.

당진시 관계자는 “우리 주변에는 힘들고 지친 분 들이 곳곳에 상존하고 있는 만큼 나와 우리가 작은 관심과 배려를 통해 도움을 준다면 보다 건강한 사회로 가는 초석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은성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미국인 2명 중 1명 “트럼프 관세정책 반대”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전 세계를 상대로 막대한 관세를 메기는 가운데 자국 여론도 엇갈리고 있다. 5일 외신에 따르면 지난달 27일부터 엿새간 미국 유권자 1050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여론조사에서 응답자 54%가 트럼프 관세정책에 반대했다. 지난 1월에는 관세정책을 ‘지지(48%)한다’는 응답이 반대(46%)를 앞섰지만 이번엔 지지 응답률이 42%로 감소했다. 응답자 4분의 3은 관세 정책으로 물가 상승을 우려했다. ‘트럼프 경제정책에 반대(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