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17일 (토)
계엄 후 尹 지지율 11%…탄핵 찬성은 75% [갤럽]

계엄 후 尹 지지율 11%…탄핵 찬성은 75% [갤럽]

기사승인 2024-12-13 10:52:59 업데이트 2024-12-13 12:36:29
윤석열 대통령. 연합뉴스 
김재민 기자
jaemin@kukinews.com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이 11%를 기록했다. 취임 후 최저 지지치이다.

한국갤럽이 지난 10~12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2명을 대상으로 자체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윤 대통령의 직무 수행 긍정 평가는 전주 대비 5%p 떨어진 11%로 집계됐다. 부정 평가는 10%p 오른 85%로 취임 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의견 유보는 4%였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 진보층, 20~50대 등에서는 부정 평가가 90%를 웃돌았다. 여당인 국민의힘 지지층에서도 긍정 평가(38%)가 부정 평가(53%)에 못 미쳤다.

한국갤럽은 “12·3 비상계엄 사태로 8년 만에 다시 맞은 탄핵 정국이 과거보다 훨씬 빠르게 돌아가고 있다”며 “2016년 10월 말 당시 박근혜 대통령 직무 긍정률은 대국민 사과 전후 25%에서 17%로 하락했고, 11월 초부터 12월9일 탄핵소추안 가결 직전까지 6주간 4~5%에 머물렀다”고 설명했다.

대통령 부정 평가의 이유 1위는 ‘비상계엄 사태’(49%)가 꼽혔다. 이어 ‘경제·민생·물가’(8%), ‘전반적으로 잘못한다’(6%), ‘경험·자질 부족·무능함’, ‘독단적·일방적’, ‘소통 미흡’(이상 5%), ‘통합·협치 부족’, ‘김건희 여사 문제’, ‘국가 혼란·불안 야기’(이상 2%) 등 순으로 나타났다. 

윤 대통령 탄핵에 대해선 75%가 찬성, 21%가 반대, 4%는 의견을 유보했다. 국민의힘 지지층에서만 유일하게 탄핵 반대(66%)가 우세하고, 70대 이상, 보수층 등에서는 찬반 격차가 크지 않았다.

또, 12·3 비상계엄 사태가 내란인지 여부에 대해선 71%가 ‘내란’이라고 답했다. ‘내란이 아니다’고 응답한 응답자는 23%, 판단 유보한 이는 6%였다. 대부분의 응답자 특성에서 내란이란 시각이 우세했지만, 국민의힘 지지층 68%는 내란이 아니라고 봤다. 70대 이상과 보수층에서는 양쪽이 비등했다.

정당 지지도는 전주 대비 국민의힘이 3%p 떨어진 24%, 더불어민주당이 3%p 오른 40%로 집계됐다. 민주당은 현 정부 출범 이래 최고치, 국민의힘은 최저치를 기록하며 양당 격차가 커졌다.

다만 한국갤럽은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정국과 비교하면 대통령 직무 긍정률과 여당 지지도의 낙폭이 그때만큼 크지는 않다”면서 “2016년 당시 여당이던 새누리당 지지도는 그해 4월 총선 직후부터 10월 초까지 29~34%였으나, 국정농단 사태 본격화 후 12%까지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조사는 이동통신 3사 제공 무선전화 가상번호를 무작위 추출해 전화조사원 인터뷰(CATI) 방식으로 이뤄졌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고, 응답률은 15.8%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와 한국갤럽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김재민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1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자연이 교과서, 미래가 교실…양천구 ‘그린스쿨링’ 실험

“멸종위기 생물 손수건 만들기 체험을 하면서 멸종위기 동물들이 많다는 걸 알게 됐어요. 지구를 지키기 위해 재활용을 더 열심히 할 거예요” (길산초 6학년 김모양)기후위기 시대, 미래세대가 마주할 환경 문제를 교실 밖으로 끌어내 함께 고민하고 실천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16일 서울 양천구청 일대에서 열린 ‘Y교육박람회 2025’ 현장. 쏟아지는 소나기도 아이들의 호기심을 꺾지는 못했다. 학생들은 이른 오후까지 이어진 빗줄기에도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