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50대 이상 서울시민의 소비 증가세가 많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50플러스재단은 9일 서울시 중장년층(40~64세)의 소비 트렌드를 심층 분석한 ‘서울시 중장년 소비 및 정보 활용 트렌드 분석’ 연구보고서를 발행했다. 재단은 중장년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구축을 목적으로 국민카드 업종별 소비 데이터를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9년과 비교해 20~24세를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소비 금액이 증가했다. 특히 50대 이상의 소비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50~54세는 51.0%, 55~59세는 57.5%, 60~64세는 63.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30~34세(64.2%)를 제외하고는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소비 건수 증가율 역시 50세 이상이 높았다. 50~54세는 49.2%, 55~59세는 62.3%, 60~64세는 65.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소비액 증가율이 높았다. 50대 이상의 소비 증가율은 온라인 업종에서 두드러졌다. 온라인 업종에서 50대 이상의 소비 증가율은 50~54세 119.2%에서 60~64세는 141.7%였다.
반면 40대는 위축된 소비 패턴을 보였다. 대부분 업종에서 소비 금액 증가율이 둔화하거나 감소해, 경제적 부담이나 가계 구조 변화 등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재단은 분석했다. 유통, 식생활, 여가 및 교육 등의 업종에서 40대 소비는 감소하거나 증가율이 더뎠다
교육 분야 소비에서는 중장년 간 차이를 보였다. 출산연령의 증가 등으로 2019년에 비해 50대 초반의 교육비 부담 증가가 큰 폭으로 늘어났다. 40대와 60대 초반에 비해 학습지·학원 등의 업종에서 소비액과 소비 건수 증가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중·고등학교 소비액 증가율도 상당히 높아 주로 학부모로서 교육비에 공격적인 소비를 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60대 초반은 복지센터, 평생교육원 등을 포함한 문화센터에 대한 소비액과 소비 건수 증가율이 상당히 높았다. 재단은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중장년 소비 수준과 기대 소득을 고려한 소득 안정화 방안과 연령대별 소비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정책 추진 등을 주요 과제로 설정했다.
강명 서울시50플러스재단 대표이사는 “이번 연구로 지난 5년간 소비시장의 주체로 떠오른 5060세대와, 위축된 소비 패턴을 보이는 40대의 특성이 뚜렷하게 나타났다”며 “재단은 중장년층이 기대 소득을 유지하고 경제적 잠재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정책적 책임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