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의 3대 주요 지수가 일제히 하락 마감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멕시코에 대한 관세를 한 달간 유예하기로 합의하면서 낙폭을 줄였는데, 불안감은 여전하다.
3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22.75p(0.28%) 내린 4만4421.91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45.96p(0.76%) 밀린 5994.57, 나스닥지수는 235.49p(1.20%) 떨어진 1만9391.96에 장을 마감했다.
이날 시장은 트럼프의 관세 정책에 주목했다. 관세 정책이 전개되는 추이에 따라 롤러코스터 같은 흐름을 보였다.
3대 지수는 급락으로 출발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고율 관세 부과 조치가 관세 전쟁으로 번질 수 있다는 우려에 시장에서 위험회피 심리를 불러일으킨 것으로 보인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일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미국으로 들어오는 모든 수입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산 제품에는 기존 관세의 세율을 추가로 10%포인트 올리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후 트럼프 대통령이 4일부터 멕시코에 부과하기로 한 25% 관세 계획을 한 달간 유예하기로 하면서 얼어붙었던 투심이 일부 완화됐다. 미국은 장 마감 이후 캐나다에 대한 관세도 유예하겠다고 밝혔다.
티에리 위즈먼 매쿼리 글로벌 외환 및 금리 전략가는 “우리는 여전히 미국이 캐나다, 멕시코 등 동맹국에 대해 영구 관세를 부과하지 않을 것이라고 본다”며 “트럼프는 거래를 좋아한다. 트럼프의 문제를 다루기에는 양보가 더 쉬운 방법”이라고 분석했다.
종목별로 보면 자동차주가 약세를 나타냈다. 제너럴모터스(GM)와 포드 주가는 각각 3.15%, 1.75% 하락했다.
기술주도 약세를 보였다. 매출 전반을 차지하는 아이폰을 대부분 중국에서 생산하고 있는 애플 주가는 3.39% 내렸다. 엔비디아 주가는 2.84% 내렸고, 인텔(-0.26%) 브로드컴(-1.60%) 등도 하락했다.
테슬라 주가는 크리스티아 프리랜드 전 캐나다 재무장관이 미국의 관세 정책 관련 테슬라 전기차에 100% 보복 관세를 물려야 한다고 주장한 이후 5.17% 급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