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에 증인으로 출석한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이 정치인 체포 명단을 받은 적 있느냐는 질문에 증언을 거부했다.
여 전 사령관은 4일 윤 대통령의 탄핵심판 5차 변론에 증인으로 나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으로부터 14명의 체포 명단이 받은 사실이 있냐’는 국회 측 질문에 “형사재판에서 답하겠다”고 답을 피했다.
여 전 사령관은 “장관으로부터 지시받은 사항을 이해해서 부하들에게 얘기한 것이고, 부하들 각각에게 지시사항을 전파하는 과정에서 서로 이해한 내용이 조금씩 다르다”며 “형사재판과 관련한 부분이라 자세히 진술할 수 없다”고 말했다.
여 전 사령관이 지난해 11월 30일 김 전 장관과 저녁을 먹으며 비상계엄 관련 이야기를 나누다 식탁을 내리치며 고성을 질렀다는 진술과 관련해선 “(내가) 계엄에 대한 부정적 견해와 소신을 말하면서 다소 언성이 올라간 것은 맞지만, 그분이 장관인 점을 상식적으로 고려해달라”고 말했다.
방첩사 수사단으로부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한동훈 국민의힘 전 대표, 우원식 국회의장을 우선 체포하라는 지시를 알고 있냐는 질문에는 “증거기록을 보면 그런 진술과 반대되는 진술이 많다”고 주장했다.
여 전 사령관은 계엄 선포 무렵 조지호 경찰청장과 전화 통화에서 특정 인물들의 이름이 담긴 명단을 전달하며 위치 정보를 요청한 사실은 인정했다.
여 전 사령관은 “조 청장에게 두 가지를 협조 요청한 것으로 기억한다”며 “첫 번째는 법령과 작전 계획에 따라 합동수사본부가 구성돼야 하니 경찰 인력을 보내달라는 것, 두 번째는 특정 명단에 대한 위치 파악이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명단에 대한 구술은 있었지만, 조 청장이 기억하는 것과 제가 기억하는 게 다르다”며 “형사재판에서 따져봐야 할 것 같다”고 덧붙였다.
또 홍장원 국가정보원 1차장에게서 먼저 전화가 와 통화한 사실은 있었지만 14명의 위치정보 확인 요청이 있었는지는 답변을 거부했다.
국회에 출동한 방첩사 요원들이 포승줄과 수갑을 준비한 경위에 대한 질문에는 “수갑과 포승줄은 출동하면 들고 나가는 기본 장비로, 특별한 목적을 가진 게 아니라 훈련하면서 쓰는 것”이라며 “(요원들에게) 비무장을 지시했다”고 주장했다.
다만 여 전 사령관은 계엄 선포 당일 정성우 방첩사 1처장에게 선거관리위원회 위치를 묻거나 서버를 뜯어와야 한다고 말한 적이 있냐는 국회 측 질문에 “중요한 사안이라 형사재판에서 따져야 한다”고 답했다.
또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을 오래전부터 알았다고 인정하면서도 계엄 직후 정 처장에게 노 전 사령관의 핸드폰 번호를 주며 연락해보라고 했냐는 질문에도 형사재판에서 진술하겠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