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민생·경제’ 경쟁 돌입 왜?…“대선 전초전 주도권 싸움”

여야, ‘민생·경제’ 경쟁 돌입 왜?…“대선 전초전 주도권 싸움”

국민의힘 ‘당정협의회’로 대안 제시…주도권 고삐 쥐기
이재명, 경제·산업 간담회, 軍 메시지…수권정당 면모 강조
최요한 “이재명 정책 국면전환…與 당정 강점 맞불”

기사승인 2025-02-05 14:08:14
서울 여의도 소재 국민의힘 중앙당사(왼쪽)와 더불어민주당 중앙당사. 유희태 기자

국민의힘이 ‘당정협의회’에서 민생을 언급하면서 국정 주도권 지키기에 나섰다. 더불어민주당은 이재명 대표를 중심으로 토론회에서 중도층 확장을 위한 ‘우클릭’ 행보에 집중했다. 정치권은 양당 행보를 두고 물밑 대선 공방전이 시작됐다고 평가했다.

국민의힘은 5일 경기도 평택시 소재 고덕변전소에서 ‘AI 혁명 위한 전력망 확충’ 현장 방문·간담회를 진행했다. 국힘은 이 자리에서 AI 산업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전력망이 필요한 만큼 ‘에너지 3법’을 통과시키자고 제안했다.

전날에는 ‘반도체특별법 주52시간제 특례 도입을 위한 당정협의회’에서 반도체 산업경쟁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이 자리에서 미국과 중국, 일본, 대만 반도체 업계 사례를 들고, 민주당에 반도체특별법 통과를 촉구했다.

국힘은 또 지방건설경기 ‘경제 분야 민생대책 점검 당정협의회’에서 비수도권 미분양 문제를 논의했다. 당정은 비수도권 미분양 문제 해결을 위해 △DSR 대출 규제 완화 △관련 입법 추진 △비수도권 미분양 매입 CR 리츠 등을 예고했다.

여당이 민생행보에 주력하는 배경으로 조기대선을 고려한 이 대표의 우클릭 행보가 꼽힌다. 이 대표가 각종 토론회를 개최해 수권정당 가능성을 내비치고 있기 때문이다. 국민의힘은 이를 당정협의회와 간담회로 각종 대안을 제시하면서 맞서고 있다.

이 대표는 윤석열 대통령 탄핵정국 이후 6대 은행장(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IBK기업은행)을 만나고, 반도체법 주52시간제 토론회 등을 개최하는 등 본격적인 행보를 밟고 있다.

이 대표는 또한 ‘12·3 비상계엄 사태’를 언급하면서 군을 신뢰한다는 메시지를 냈다. 지난 대선에서 내건 해병대 준4군 체제에 대한 입장도 밝혔다.

이 대표는 이날도 ‘트럼프 2.0시대 핵심 수출기업의 고민을 듣는다’ 토론회를 개최해 국제 통상 전략을 논의했다. 이번 토론회는 지난달 13일부터 반도체와 이차전지, 자동차, 중견·중소기업 간담회를 한 번에 정리하는 자리다.

그는 토론회 모두발언으로 “대한민국이 격랑의 국제질서에서 번영하기 위해서는 모두의 의견을 모아야 할 때”라며 “이제는 민간 역량이 정부 역량을 넘는 선진국 대열에 들어왔기 때문에 기업·경제인 의견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가 적극 미래 산업·경제 의제를 꺼내든 배경에는 ‘수권정당’ 면모와 ‘실용주의자’ 모습을 보이려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로써 중도 확장성을 키우고, 조기 대선 전 이미지를 구축하고 있다.

전문가는 여야 정책 대결이 더 가속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정책경쟁이 탄핵심판과 형사재판으로 다시 정치 논쟁으로 비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최요한 정치평론가는 이날 쿠키뉴스와 통화에서 “이 대표의 의제설정 능력은 시정과 도정으로 쌓인 경험”이라며 “12·3 비상계엄 사태로 정치논쟁에 묻히자 정책 행보로 국면전환을 시도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국민의힘은 집권여당으로서 야당에게 주도권이 넘어가는 것을 막아야 한다. 이 때문에 당정협의회를 통해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라며 “이 대표가 갖지 못한 정보와 놓친 부분을 통해 정책적인 맞불을 놓는 중”이라고 분석했다.

아울러 “탄핵 심판과 형사재판이 이어지면서 정책이 네거티브 논쟁으로 변할 가능성이 있다”며 “이는 유권자들이 차분히 판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임현범 기자
limhb90@kukinews.com
임현범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