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kuk/image/2025/02/06/kuk20250206000145.800x.9.jpg)
세계 바둑 랭킹 1위 신진서 9단이 의견을 개진한 파급력은 굉장했다. 한국기원은 신 9단이 의견을 개진한대로 ‘경고’에서 ‘주의’ 처분으로 하향 조치하겠다는 방침을 중국에 전달했고, 중국바둑협회가 “환영한다”는 입장을 내면서 한·중 갈등은 15일 만에 봉합됐다.
6일 쿠키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한국기원은 하루 전인 5일 중국바둑협회에 공문을 보내 사석 관리 규정을 위반할 경우 ‘경고(벌점 2집 포함)’가 아니라 ‘주의’로 진행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는 신진서 9단이 5일 쿠키뉴스가 단독 보도한 ‘[단독] ‘LG배 사태’ 의견 낸 신진서 “3국은 커제 잘못도 크다” [쿠키인터뷰]’ 기사에서 말했던 내용과 정확히 일치한다.
신 9단은 쿠키뉴스와 통화에서 “벌점 2집과 반칙패가 아니라 먼저 주의를 주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는 의견을 피력한 바 있다. 한국 바둑 룰에서 ’주의’ 처분은 대국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반면 ‘경고’ 처분을 받게 되면 벌점 2집이 부과되고, 한 번 더 경고를 받게 되면 ‘경고 누적 반칙패’를 당하게 돼 차이가 크다.
중국바둑협회에서는 즉각 입장을 내 “논란이 된 규정을 한국기원이 변경 조치한 점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환영한다”고 반색했다. 현지 언론과 인터뷰 한 중국 관계자는 “중국바둑협회가 한국기원에 지속적으로 요구했던 규칙 개정 사항들이 수용되면서 양국이 지속적으로 교류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됐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한편 한국기원 관계자는 이날 쿠키뉴스에 “지난 3일 긴급 운영위원회에서 사석 규정을 변경하고 반외 규정에 의한 경고 누적 반칙패를 없애기로 했지만, 벌점을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해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면서 “세부적인 논의 및 검토가 필요해 우선 가까운 농심배(백산수 포함), 쏘팔코사놀배 등 한국 주최 세계대회에서 해당 규정에 대해 개정 전까지 잠시 효력을 정지하고, 심판의 주의(패널티 없음)로 진행하기로 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