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중국과 일본을 포함한 아세안 국가들과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채권시장 혁신 방안을 논의한다. 향후 역내 채권시장 통합을 촉진하고, 아시아 금융시장 전반의 안정성 및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기획재정부는 10일 금융연수원에서 디지털채권시장포럼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아세안+3(동남아시아 10개국과 한국, 중국, 일본) 국가의 금융당국 관계자, 민간 전문가, 아시아개발은행 전문가 등 100여명이 참석한 올해 첫 행사다.
앞서 아세안+3 국가들은 아시아 외환위기 이후 역내 현지통화 채권시장 육성을 위해 협력하는 아시아채권시장 이니셔티브(ABMI)를 진행해 왔다. 지난해 마련된 ABMI 중기 로드맵에서는 ‘디지털 전환을 통한 채권시장 통합’을 주요 목표로 설정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채권시장에서의 디지털 혁신은 주요 주제로 부상했다.
기재부와 아시아개발은행은 이같은 흐름을 고려해 이번 포럼을 공동으로 추진했다. 포럼에서는 12개국 관계자가 각국의 디지털자산 규제 및 동향을 공유하고, 각국의 서로 다른 규제 및 시장현황에 대한 이해를 제고할 계획이다. 이를 토대로 전문가 패널들이 역내 채권시장 통합을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포럼은 아세안+3 채권시장 발전을 위한 공통 과제를 발굴하고, 규제 정합성 제고 및 기술 표준화 등 협력 방안을 구체화하는 데 기여할 전망이다. 아울러 향후 역내 채권시장 통합 촉진과 아시아 금융시장 전반의 안정성 및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는 게 정부 측 설명이다.
김재환 기재부 국제금융국장은 “디지털 채권시장은 거래 효율성 제고, 비용 절감, 투명성 강화 등 기존 시장 대비 다양한 장점을 갖추고 있다”며 “아세안+3 국가와 함께 디지털 혁신 방안을 모색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향후 디지털채권시장포럼의 연 2회 개최를 추진할 방침이다. 또한 역내 채권시장 발전과 통합을 위해 아세안+3 회원국들과 긴밀히 협력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