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kuk/image/2025/02/11/kuk20250211000080.580x.0.jpg)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지난 10일 한화임팩트파트너스와 한화에너지가 보유했던 한화오션 지분을 추가로 인수하면서 그룹 핵심인 방산 분야에서 김승연 회장 장남 김동관 부회장의 지배력이 더욱 확대되는 모습이다.
여기에다 삼남인 김동선 부사장도 이날 한화정밀기계의 사명을 한화세미텍으로 바꾸며 사업영역을 확실히 굳히면서 한화그룹 3형제를 중심으로 한 사업 재편 윤곽도 뚜렷해지고 있다.
11일 방산업계에 따르면,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전날 이사회에서 한화임팩트파트너스와 한화에너지가 보유한 한화오션 지분 7.3%를 주당 5만8100원, 1조3000억원에 매입하기로 의결했다. 이로써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보유한 한화오션 지분은 34.7%에서 42.0%로 늘었고,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한화오션의 최대주주로 자리매김했다.
한화오션은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협력 요청과 미국 필리조선소 인수 등으로 한껏 몸값이 높아진 상태인 데다 군함 등 특수선 분야에서도 경쟁력을 키우고 있다.
그룹 내에서 가장 주가가 높아진 한화오션 지분을 확대하면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종합 방산기업은 물론 그룹 내 대표 계열사로서 입지를 공고히 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또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한화시스템, 한화임팩트파트너스, 한화에너지 등 4개사가 보유했던 한화오션 지분이 한화에어로스페이스로 통합되면서 김승연 회장의 후계자로 지목되는 장남 김동관 부회장의 그룹 내 구심력도 한층 커진 모습이다. 김 부회장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를 총괄하고 있다.
재계는 이번 지분 인수로 방산·항공우주·에너지(김동관), 금융(김동원), 유통·로봇·반도체 장비(김동선)로 구분되는 그룹의 사업 재편 속도가 더 빨라질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같은 날 삼남인 김동선 부사장이 반도체 장비를 주력으로 하는 한화정밀기계의 사명을 반도체(Semiconductor)와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인 한화세미텍으로 변경하면서 이러한 전망은 더욱 설득력을 얻고 있다.
한화세미텍은 표면실장기술(SMT) 장비, 반도체 후공정 장비, 공작기계 등을 생산하는 기업으로, 지난해 반도체 전공정 사업을 인수하며 ‘반도체 제조 설루션’ 전반으로 사업 영역을 확대했다.
김 부사장은 한화갤러리아·한화호텔앤드리조트, 한화비전에 이어 한화세미텍 미래비전총괄로 합류하며 유통, 로봇에 이어 반도체 장비로 자신의 사업영역을 확실시했다. 김 부사장은 한화로보틱스, 한화모멘텀 등도 총괄하고 있다.
특히 김 부사장이 이끄는 한화호텔앤드리조트는 급식업체 아워홈 인수를 타진하고 있는데 인수가 성공할 경우 한화그룹 3형제간 후계 구도 및 사업 재편 그림은 더욱 뚜렷해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