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kuk/image/2025/02/11/kuk20250211000343.800x.0.jpg)
90세 노인도 실손의료보험에 가입해 110세까지 보장받을 수 있는 길이 열린다.
금융당국과 보험업계는 오는 4월부터 실손보험의 가입연령과 보장연령이 확대된다고 11일 발표했다. 실손보험은 가입자가 병에 걸리거나 다쳐서 발생한 치료비나 약제비를 보상받는 상품이다.
현재 질병 유무와 관계없이 실손에 가입할 수 있는 연령은 70세까지다. 건강한 70세 이하는 일반 실손에, 가벼운 만성질환이나 치료 이력이 있지만 일정 기간이 지났다면 유병력자 실손에 가입할 수 있다. 질환이나 치료 이력이 없고 몸이 건강하다면 75세까지도 가입할 수 있다. 고령층에 특화된 노후 실손 상품이 있기 때문이다.
즉, 몸이 아픈데 70세를 넘겼거나 건강하지만 76세 이상인 노인은 실손에 가입하기 어렵다. 이에 금융당국과 보험업계는 유병자 실손과 노후 실손 상품의 가입연령을 90세까지로 상향하기로 했다. 100세까지인 보장연령도 110세까지로 높인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최근 노령층의 실손보험 가입률은 낮다. 70대는 전체의 38.1%가 실손에 가입한 반면 80대 이상은 4.4%가 가입하는 데 그쳤다. 금융위는 “가입연령을 확대해 고령화 시대 노년층의 의료비 보장을 강화하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노후 실손보험은 손해보험사 7개사(메리츠‧롯데‧삼성‧현대‧KB‧DB‧NH농협)와 생명보험사 2개사(한화‧삼성)가 판매하고 있다. 유병력자 실손보험은 손해보험사 10개사(메리츠‧한화‧롯데‧흥국‧삼성‧현대‧KB‧DB‧NH농협‧신한EZ)와 생명보험사 2개사(삼성‧NH농협)에서 판매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