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kuk/image/2025/02/12/kuk20250212000328.800x.0.png)
미국발 관세전쟁이 본격화됨에 따라 국내 10대 제조업에 지난해보다 7% 증가한 119조원이 투자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2일 오후 서울 강남구 한국무역협회에서 안덕근 산업부 장관 주재로 제5차 산업투자전략 회의를 열고 10대 제조업 투자 실적 및 계획을 점검하고 이같이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반도체, 자동차,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석유화학·정유, 철강, 바이오, 조선, 기계·로봇, 섬유 등 10대 제조업 대표 기업과 대한상공회의소, 산업연구원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지난해 10대 제조업 투자 실적은 114조원으로 당초 계획인 110조원을 초과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부는 지난해 고금리 장기화로 인한 자금 조달 비용 상승, 고환율로 인한 자본재 수입 가격 증가 등 어려운 여건에도 반도체, 자동차 등 산업이 국내 투자를 주도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올해 10대 제조업 투자 계획은 119조원으로 집계됐다.
이중 반도체 업계는 올해 글로벌 인공지능(AI) 성장세에 대응하기 위해 첨단 메모리를 중심으로 투자를 늘리고, 자동차 업계는 전기차 전환 투자를 확대할 예정이다. 이차전지와 철강 등의 투자는 전기차 캐즘(Chasm·일시적 수요 정체)과 글로벌 공급 과잉 등의 영향으로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
안덕근 장관은 “글로벌 제조업의 중심으로서 국내 일자리 창출 및 공급망 불확실성 등을 고려한 국내 투자가 중요하다”며 “우리 기업들이 국내 투자를 꾸준히 늘려나갈 수 있도록 총력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또 “AI 혁명이 가져올 변화와 기회를 눈여겨보며 제조업 혁신의 핵심 수단으로서 AI 관련 투자에 실기하지 않도록 해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