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청년 비하’에 예민한 대응 왜…‘캐스팅보트’ 사전 여론전

여야, ‘청년 비하’에 예민한 대응 왜…‘캐스팅보트’ 사전 여론전

이재명, ‘청년 비하’ 발언에 ‘경고’…권영세 ‘청년 편’ 강조
‘2030' 25% 캐스팅 보트…인구구조·정치공학 영향
박상병 “탄핵과 사법리스크 여론 중요…조기 대선도 기다리는 중”
“2030 변하는 민심 특성…양당 민감할 수밖에 없어”

기사승인 2025-02-13 13:32:34
지난 2022년 대선후보였던 윤석열 대통령이 2030 청년층 표심을 잡기 위해 간결한 한줄 메시지 공약을 내걸었다. 해당 공약 발표 이후 젠더 갈등을 조장하는 게 아니냐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윤석열 페이스북 캡처

‘청년 비하’ 문제로 민주당은 문제 해결을 위한 메시지를 냈고, 국민의힘은 청년층 무시를 맹공했다. 양당이 청년층에 민감한 이유로 ‘변하는 표심’과 ‘인구구조’ 문제가 꼽힌다. 앞선 20대 대선에서도 청년 표심이 여야 희비를 갈랐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13일 비상대책위원회 모두발언에서 “민주당 교육연수원장은 청년들을 스스로 말라비틀어지게 하고 고립시켜야 한다는 망언을 했다”며 “국민의힘은 국민과 2030 청년 편에 서겠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청년 비하’ 발언을 한 박구용 전 교육연수원장 사퇴를 즉각 수용했다. 이재명 대표는 당내에 박 전 원장 발언이 부적절했다고 지적했다. 또 당직자들에게 신중한 언행을 당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양당의 기민한 반응은 인구통계와 정치지형에서 청년 중요도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통계청 ‘2025년 인구피라미드’를 살펴보면 진보 지지성향이 강한 40대(771만여명)와 50대(866만여명)는 총 1657만여명으로 전체 인구의 32%를 차지하고 있다. 반면 보수 성향이 강한 60대(774만여명)와 70대 이상(680만여명)은 1454만여명으로 전체 인구의 28%로 집계된다.

4050세대와 6070이상 세대의 차이는 203만명으로 4%정도의 차이가 있다. 이 때문에 청년층이 캐스팅보트가 됐다. 20대와 30대는 각각 613만여명, 697만여명으로 청년층 표심은 1310만여표에 달한다. 전체인구 5168만여명 중 25%에 해당하는 수치다.

더불어민주당 다이너마이트 선대위가 지난 2022년 20대 대선 중 탈모공약을 내세우고 토론회를 진행하고 있다. 쿠키뉴스 자료사진

20대 대선이 준 교훈…시작된 청년 ‘여론전’


정치권에 어떤 정당이든 청년층 표심을 잃으면 선거에서 불리하다. 총선이나 지선과 달리 지역구 제한이 없는 대선에서는 청년층 표심이 당선 당락을 결정한다. 여야는 지난 20대 대선에서 청년층 표심 고지전을 벌인 바 있다. 

결국 20대 대선은 청년층이 갈라져 0.73%p 라는 극적인 차이로 윤석열 대통령이 당선됐다. 국민의힘에 소속된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은 ‘여성가족부 폐지’와 ‘세대포위론’ 등을 통해 2030 남성 표를 끌었다. 반면 2030 여성들은 역결집해 당시 민주당 후보였던 이재명 대표에게 표를 몰았다.

민주당도 ‘청년’ 표심을 놓지 않으려고 ‘다이너마이트 청년 선대위’를 설립했다. 다이너마이트 선대위는 청년들이 고민하고 내놓은 ‘탈모공약’ 등을 내세우면서 존재감을 드러냈다. 그뿐만 아니라 ‘민주당 꼰대 짓 그만해라 위원회’를 만들어 청년 공약에 힘을 쏟았다.

전문가는 여야가 본격적인 ‘조기 대선’이 아님에도 청년 이슈에 민감한 이유로 탄핵 정국인 점을 꼽았다. 2030 청년층은 다른 세대와 다르게 언제든지 여론이 뒤집힐 수 있다고 경고했다. 현재 여론이 조기 대선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이날 쿠키뉴스와 통화에서 “윤 대통령 탄핵국면과 이재명 항소심까지 여론전 싸움이 크다. 이 뒤에는 바로 대선이 기다리고 있다”며 “여야 모두 2030 청년층 표심을 잡는데 최선을 다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4050에서는 진보가 강세를 보이고 6070은 보수 지지세가 강하다”며 “반면 2030은 상황에 따라 언제든지 지지를 철회할 수 있는 세대다. 인구 구조상 선거 키를 쥐고 있어 정치권이 민감하다”고 분석했다.
임현범 기자
limhb90@kukinews.com
임현범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