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수 회복이 지연되면서 경기하방 압력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중국 춘절 특수를 기대했던 민간소비도 좀처럼 살아날 기미를 보이질 않고 있다.
기획재정부가 14일 발표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2월호’에 따르면 1월 카드 국내 승인액은 전년동월 대비 1.7% 증가했다. 이는 전월(5.4%)에 비해 3.7%p 낮아진 수치다.
또한 1월 소비자심리지수는 91.2로 12월(88.4)에 이어 두달 연속 기준값인 100을 밑돌았다. 지수가 100보다 낮으면 장기평균(2003∼2024년)과 비교해 비관적이라는 의미다.
이와 관련 기재부는 “1월 소매판매의 경우 설 연휴 영향으로 백화점과 대형마트 매출이 증가했으나, 전체적으로 카드 승인액 증가율이 둔화되고 소비자 심리 약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함께 발표된 1월 중국인관광객(요우커)수도 39만7000명으로 1년전보다 약 760만명 감소했다. 전년동기(801만300명)와 비교하면 20분의 1 수준에 그쳤다.
중국 최대명절인 춘절 연휴(1월28일~2월4일)에도 불구하고 1월 방한 요우커 감소는 이례적인 일이다. 지난해 12월 초 비상계엄사태 이후 이어져 온 국내 정세 불안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시장조사전문기관인 블룸버그 인텔리전스는 지난 연말 보고서를 통해 “내년 1분기 한국을 방문할 중국인 관광객이 83만명으로 1년전보다 크게 감소할 수 있다”며 “관광객들이 사회 불안에 대한 우려로 방한 시기를 미룰 것”이라고 분석한 바 있다.
기재부 관계자는 “소비 등 내수 회복이 지연되는 가운데,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경기심리 위축 등으로 경기 하방 압격이 증가하고 있다”면서 “1분기 민생·경제 대응 플랜을 통해 가용수단을 총동원해 일자리·서민금융·소상공인 등 분야별 개선 조치를 신속히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1월 소비자물가는 석유류 가격 상승폭 확대 등으로 1년전 같은 기간에 비해 2.2% 상승했다.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1.9%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