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학년도에는 선택과목 제한을 없앤 대학이 추가되어 사탐 선택자가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지난해 수능 탐구 영역에서 ‘사탐 1과목 + 과탐 1과목’을 응시한 수험생의 탐구 과목 성적이 어떠했는지 진학닷컴 정시 합격예측 서비스 이용자 데이터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사탐런 수험생의 71.6%가 과탐보다 사탐 백분위 더 높아
진학닷컴 2025학년도 정시 합격예측 서비스에 수능 성적을 입력한 수험생 중, 탐구에서 사탐과 과탐을 1과목씩(이하 ‘사탐1+과탐1’) 응시한 수험생은 1만7481명으로, 전체 입력자의 10.9%를 차지했다(2025년 1월 14일 기준). 확률과 통계 응시자 중 4.0%, 미적분/기하 응시자 중에는 15.0%가 이에 해당한다.
소위 ‘사탐런’이라 불리는 경우라고 할 수 있는데, 이들의 탐구 성적을 분석한 결과 10명 중 7명은 과탐 과목보다 사탐 과목을 더 잘 본 것으로 확인되었다. 71.6%가 사탐에서 더 좋은 백분위를 취득했고, 1.6%는 동일한 백분위를 받았다. 과탐 백분위가 더 높은 경우는 26.8%에 그쳤다. 백분위로만 보면 다수가 사탐런에 성공했다고 할 수 있다.

상위권에서는 사탐 등급이 더 낮은 경우 많아
71.6%는 사탐 백분위가 과탐보다 높았지만, 26.8%는 과탐을 더 잘 봤다. 점수로만 보면 26.8%는 사탐 선택의 결과가 좋지 않았다는 의미인데, 이러한 경향은 상위권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사탐1+과탐1’ 응시자의 탐구 등급을 비교한 결과, 과탐이 1등급인 수험생의 43.0%는 사탐에서도 1등급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탐 2등급 그룹에서도 사탐 1등급 취득 비율이 31.4%로 높은 편이었다. 반면, 과탐 1등급 학생의 57.0%, 2등급 학생의 43.0%는 과탐보다 사탐의 등급이 좋지 않았다. 과탐 3등급 그룹에서도 3분의 1 가까이는 사탐 등급이 더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과탐 상위권 수험생이 사탐을 응시할 경우, 기대만큼 좋은 성적을 받지 못할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 많은 상위권 대학이 정시에서 자연계열 지원 시 과탐 응시자에게 가산점을 부여하고 있어 상위권 학생들이 사탐으로 전환하기에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과탐 1과목을 사탐으로 변경할 경우 학업 시간을 조금 더 확보할 수 있어, 다른 과목에 시간을 더 할애할 수 있다는 장점까지 고려해서 판단해야 할 것이다.
사탐을 응시해 좋은 점수를 받은 자연계열 수험생이 많은 건 사실이지만 모두에게 필요한 것은 아니다. 수시 전형을 공략하는 수험생의 경우 등급이 중요하기 때문에 사탐 전환 시 이점이 있을 수 있겠지만, 정시까지 고려한다면 사탐 지원 불가 대학, 대학별 가산점 등을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 또한 사탐이 누구에게나 수월한 과목이 아니라는 점을 명심하자. 사탐 선택 후 과탐보다 더 낮은 점수를 받은 학생도 적지 않다는 점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