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은행이 25일 기준금리를 연 3.0%에서 연 2.75%로 0.25%포인트(p) 내리기로 결정했다.
한은은 이날 오전 서울 남대문로 본관에서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이같이 결정했다.
기준금리가 2%대로 내려온 건 2022년 10월 이후 약 2년 4개월 만이다. 앞서 금통위는 지난해 10월과 11월 두 차례 연속 기준금리를 낮췄다가, 지난달에는 환율 불안을 이유로 금리를 3.0%로 동결한 바 있다.
이날 금통위 결정은 내수 회복 지연과 미국 관세 인상에 따른 수출 증가세 둔화, 비상계엄 사태 이후 정치 불확실성으로 인한 소비심리 악화 등 악재를 복합적으로 고려한 결과다. 그간 금리 인하 발목을 잡던 환율의 변동성이 다소 완화된 점도 영향을 미쳤다. 1월 금통위 당시 1470원대로 올랐던 환율은 올해 들어 최저 수준인 1420원대로 내려왔다.
한은은 금리 인하와 함께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도 대폭 하향 조정했다.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지난해 11월 전망 당시 1.9%에서 불과 석 달 만에 1.5%로 0.4%p 낮췄다.
지난달 한은은 12·3 비상계엄 여파를 반영한 경제 중간 점검에서 “올해 경제 성장률이 1.6~1.7%로 하향 조정될 수 있다”고 예고했다. 당시 예고보다 더 암울한 전망치를 내놓은 셈이다. 한은이 2023년 11월 처음 제시한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2.3%였다. 하지만 이후 지난해 5월 2.1%, 8월 2.1%, 11월 1.9% 등으로 수정했다.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1.8%로 유지했다. 한은이 추산한 잠재성장률(2%)보다 낮은 수준으로 한국 경제가 저성장 국면에 접어들었다는 관측이다.
한은은 또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1.9%로 잡았다. 석 달 전 전망치(1.9%)와 같다. 내년 물가 상승률은 1.9%로 동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