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터넷전문은행 3사가 올해 가계대출을 지난해보다 3조3000억원(4.8%) 늘리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당초 설립 취지인 중·저신용대출 공급보다 주택담보대출 영업에 치중하며 가계대출 급증에 일조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4일 인터넷은행 3사(카카오뱅크·K뱅크·토스뱅크)가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인영 의원실에 제출한 올해 가계대출 증가액 관리 목표치는 지난해 말 가계대출 잔액보다 4.8% 늘어난 3조3183억원이다. 이는 정책성 상품을 제외한 가계대출 규모다.
이들 3개 은행의 지난해 실제 가계대출 증가액은 8조2556억원이다. 지난해 제시했던 증가액 관리 목표치 8조4799억원 보다 2243억원 적었다.
인터넷은행의 지난해 대비 가계대출 증가율 관리 목표치인 4.8%는 은행권(1~2%)을 두 배 이상 상회한다. 금융당국의 패널티가 적용되지 않기 때문이다. 제2금융권인 상호금융(2%대 후반)이나 저축은행(4% 가량)보다도 높은 증가율이다.
지난 3년간 인터넷은행들은 주택담보대출 규모를 빠르게 확대하면서 몸집을 키워왔다. 금융감독원 금융통계 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인터넷은행 3사의 가계대출 잔액은 2021년 말 33조4828억원에서 지난해 말 69조5385억원으로 3년 만에 2배 이상으로 급증했다. 주담대 잔액은 2021년 말 10조3135억원에서 지난해 9월 말 34조4783억원으로 3.3배로 급증했다.
카카오뱅크의 주담대 잔액은 24조6932억원으로 같은 기간 2.7배로 늘었다. 케이뱅크는 7조8279억원으로 6.7배로 불었다. 카카오뱅크의 가계대출 중 주담대 잔액은 2023년 6월말 신용대출 규모를 추월했다. 케이뱅크 역시 지난해 9월말 주담대 잔액이 신용대출을 넘어섰다. 토스뱅크는 내년 상반기 주담대 상품을 내놓을 것으로 전해졌다.
이 의원은 “인터넷은행에 포용적 금융을 기대했지만 현실은 신용대출보다 담보대출 위주로 흘러가고 있다”며 “시중은행과 다를 바 없는 영업 방식이 이어진다, 인터넷은행의 존재 이유도 흔들릴 수 있다. 금융당국은 인터넷은행의 역할을 다시 점검하고 금융소외 계층을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