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의 3월 수출이 1년 전보다 3.1% 증가하며 두 달 연속 성장세를 보였다. 특히 반도체를 포함 IT 전 품목 수출이 8개월 만에 긍정적인 지표를 기록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1일 발표한 ‘2025년 3월 수출입 동향’을 보면 지난달 수출액은 582억800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3.1% 증가했다. 이는 역대 3월 중 두 번째로 많은 실적이다. 다만 1분기(1~3월) 수출은 1599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1% 감소했다.
주력 상품인 반도체의 수출은 HBM‧DDR5 등 고부가 메모리 호조에 따라 131억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11.9% 늘며 상승 전환했다. 반도체 수출은 IT 전방산업의 메모리 반도체 재고 정상화에 따른 구매 확대, 빅테크 기업의 서버용 D램 수요 증가 등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풀이된다. 역대 3월 최대 실적인 2022년 수출 실적(131억2000만 달러)에도 근접했다.
특히 반도체뿐만 아니라 IT 전 품목 수출이 지난해 7월 이후 8개월 만에 상승 곡선을 그렸다. 컴퓨터는 빅테크 중심 AI 인프라 투자 확대에 따라 기업용 SSD 수출 증가 흐름을 타고 있다. 이에 지난달 수출액은 12억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33.1% 증가하며 15개월 연속 두 자릿수 이상의 수출 증가율을 기록하고 있다.
무선 통신은 글로벌 프리미엄 AI 스마트폰 수요 확대로 13.8% 증가한 13억 달러를 벌었다. 디스플레이는 OLED‧LCD 패널 단가 하락세에도 신제품 출시 등으로 15억 달러로 2.9% 상승하며 8개월 만에 증가 전환했다.
자동차 수출은 전기차 수출 부진에도 불구하고 하이브리드‧내연기관차의 실적으로 같은 기간 1.2% 증가한 62억 달러를 기록했다. 선박 수출은 51.6% 늘어난 32억 달러로 2023년 12월(37억 달러) 이후 15개월 만에 최대치다. 바이오헬스도 의약품을 중심으로 6.9% 증가한 14억1000만 달러를 벌었다.
반면 석유제품은 국제 유가 하락세 지속과 주요 정유사 정기보수 확대 등이 동시에 작용하며 28.1% 감소한 33억 달러, 석유화학은 10.8% 감소한 36억2000만 달러에 그쳤다.
한국의 3월 수입액은 533억 달러로 2.3% 증가했으나 무역수지는 49억8000만 달러 흑자를 나타냈다. 월간 무역수지는 2023년 6월 이후 19개월 연속 흑자를 이어오다 올해 1월 적자로 돌아섰다. 이후 2월과 3월에 2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3월에는 통상환경의 불확실성 하에서도 IT 전 품목 수출이 8개월 만에 플러스를 기록했다”며 “미측과의 지속적인 대화와 신속한 국내지원 조치 마련을 통해 수출업계가 당면한 불확실성을 해소해나가는데 가용한 모든 자원을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