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25% 상호관세’ 발표…정부, 민관합동 대응 모색

‘美 25% 상호관세’ 발표…정부, 민관합동 대응 모색

기사승인 2025-04-03 15:20:11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3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민관 합동 미 관세 조치 대책 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일 한국산 수입품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가운데, 정부가 대책 회의를 열고 대응 방향을 논의하고 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이날 오전 서울에서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에 ‘긴급 경제안보전략 TF(태스크포스) 회의’를 개최했다. 총리실에 따르면 미국이 상호관세를 발표된 직후 최대한 빠르게 우리 정부의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는 설명이다.

한 권한대행은 미 상호관세 주요 내용을 보고받은 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에게 “기업과 함께 발표된 상호관세의 상세 내용과 영향을 면밀히 분석하라”며 “지금부터 본격적인 협상의 장이 열리는 만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미협상에 적극 나서라”고 주문했다.

산업부도 안덕근 장관 주재로 미국 관세 조치 대책 회의를 열었다. 안 장관은 이날 오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주요 업계, 경제단체, 연구기관과 ‘민관 합동 美 관세조치 대책회의’를 개최했다.

회의에서는 정부와 업계가 트럼프 정부의 상호관세 조치가 우리 기업에 미칠 영향과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정부는 우리 기업의 피해 최소화를 위해 장관·통상교섭본부장 등 고위급·실무급 대미 협의를 적극 추진한다. 또 관세 부과 영향 업종에 대한 영향 분석과 긴급 지원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이에 정부는 반도체, 자동차, 철강 등 주요 업종에 대한 영향을 점검하고, 앞으로 수출에 미칠 파장을 분석하는 한편, 현지 생산 확대 등 대응 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 등 대미 주요 수출국을 대상으로 10∼49%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한국의 관세율은 25%로 베트남(46%), 중국(34%), 대만(32%), 인도(26%) 등보다는 낮지만, 일본·말레이시아(24%), 유럽연합(EU·20%), 영국(10%) 등보다는 높다.

업계에서는 미국이 지난달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이날 전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면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으로 대부분 상품을 무관세로 교역하던 한국의 수출 산업에 타격이 우려된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김건주 기자
gun@kukinews.com
김건주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