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토지거래구역해제 후 서울 ‘잠삼대청’(잠실·삼성·대치·청담) 거래량이 해제 전보다 3.6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7일 부동산 정보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틑날인 2월13일부터 재지정 직전 3월23일까지 39일간 서울 전체 매매 거래량은 9665건(지난 4일 기준)으로 집계됐다. 이는 해제발표 직전 같은 기간(1월4일~2월11일, 39일)의 거래량(4559건) 대비 약 2.1배 많은 수준이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39일간 규제 대상 지역 내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총 353건으로 해제 직전(99건)보다 3.6배 이상 많았다. 신고가 경신 거래도 증가했다. 해제 전 39일간 13건이었던 잠삼대청의 신고가 거래는 해제 이후 84건으로 약 6.5배 늘었다. 같은 기간 전체 서울 전체 신고가 거래가 362건에서 839건으로 2.3배가량 늘어난 것에 비해 두드러진 수치다. 다만, 실거래 신고 기한이 남아 있어 최종적인 거래량은 바뀔 수 있다.
규제 해제 대상 지역 내에서는 잠실동의 거래가 가장 많았다. 39일 동안 잠실동은 총 135건의 아파트가 거래됐다. 단지별로는 대장 아파트로 꼽히는 엘·리·트(잠실엘스·리센츠·트리지움) 거래량이 1위 였다. 리센츠가 38건, 잠실엘스가 34건, 트리지움이 30건 순이다. 이어 삼성동이 86건, 대치동이 71건, 청담동이 61건 순으로 많았다.
실제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송파구 잠실동에 있는 대장아파트 잠실엘스(전용면적 84㎡)는 2월5일 28억1000만원에 거래됐다. 앞서 지난해 2월19일 22억3000만원에 거래된 바 있다. 약 1년 새 5억2000만원이 오른 셈이다. 또 송파구 잠실리센츠(전용면적 84㎡)도 지난해 1월 22억2500만원 거래됐으나 지난 1월 25억1500만원에 거래되며 약 3억원 상승했다. 이어 지난 4일 28억3000만원에 시세를 형성했다.
직방 관계자는 “토지거래허가구역이 재지정된 지 2주가 지났는데 규제지역 재지정으로 인해 수도권 부동산 시장은 단기적으로 거래 위축이 불가피할 전망”이라며 “대출 규제 및 세제 강화 조치가 다시 적용되면서 매수자들의 관망 심리가 짙어지고 있으며 시장은 눈치보기 장세를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단기적으로는 관망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지만, 상급지를 중심으로 선별적인 상승 흐름이 나타날 여지도 있다”며 “이번 조정이 일시적인 숨 고르기에 그칠지, 아니면 추세적 전환으로 이어질지는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정부와 서울시는 이 같은 이상 거래 등을 확인 후 강남3구와 용산구를 지난 24일을 기준으로 토허구역으로 재지정했다. 다만, 인위적인 제도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닌 만큼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는 “토지거래허가제는 본래 도심지역을 대상으로 만들어진 게 아닌데 도심에 적용하고 또 ‘아파트’ 한정으로 거래를 제한하며 생각지 못한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라 지적했다. 이 연구위원은 “근본적인 문제는 토허제 정책에 있다”며 “일반 도심에 토허제를 적용하는 것 자체가 맞지 않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