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에 대해 "맞대응 않고 협상할 것"이라고 말했다.
8일(현지시간) 연합뉴스에 따르면 한 권한대행은 이날 공개된 미국 CNN과의 인터뷰에서 “(한국은 미국과) 협상하고자 하는 뜻이 명확하며, 한미는 강력한 동맹”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한 대행은 '한국이 중국·일본과 협력해 미국의 관세에 대응할 것인가'라는 질의에 “우리는 그 길을 택하지 않을 것”이라며 “그런 식의 맞대응이 상황을 극적으로 개선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이어 그는 “특히 그런 대응이 한·중·일 3국, 그중에서도 특히 한국에 이익이 되지 않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한 대행은 또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에 대해 큰 일”이라며 “모든 일이 하루 이틀에 해결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한국 기업들도 충격에 대비해야 할 것”이라며 “기업이 타격을 받기 전에 한미 양국이 합의에 도달할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고 강조했다.
그는 “25% 관세 부과가 어떤 의미인지 매우 차분하게 평가하고 협상할 필요가 있다”며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을 미국으로 파견했다”고 했다.
이어 “게임 이론에서 보듯, 개별 플레이어들이 각자 행동하는 것은 상황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서 “우리는 소통하고 협력하고 함께 일해야 하며, 윈-윈 상황을 찾아내려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달 30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한·중·일 경제통상장관회의에 대해선 “이례적인 회의가 아니라 일상적인 회의였을 뿐”이라며 “한·중·일 3국이 비슷한 장관급 회의를 해왔다”고 설명했다.
한 대행은 “(이런 회의가) 무엇을 암시하는지 궁금해하실 분들도 계시겠지만 맞대응을 위한 연합은 아니며, (맞대응은) 세계 무역을 위축시킬 수 있다”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