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대 대통령선거 출마를 공식 선언한 더불어민주당 김두관 전 의원이 9일 오전 부산시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부산·경남 지역을 중심으로 한 경제 공약을 발표했다.
김 전 의원은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등 국책은행의 부산 이전을 적극 추진하겠다"며 "부산은 세계 경제 영토를 연결하는 물류의 시·종착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비명계(비이재명계)로 분류되는 김 전 의원이 산은 부산 이전 등을 직접 언급한 것은 이번 대선에서 캐스팅보트로 평가받는 부산이 원하는 산은이전에 명확한 입장 표명을 미루고 있는 이재명 대표와 궤를 달리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함인 것으로 풀이된다.
김 전 의원은 또 이날 기자회견에서 수도권 일극주의에 대항해 지방분권을 이루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서울 중심의 일극 체제는 경제 불균형과 사회 갈등을 심화시켰다"며, 대한민국을 5대 초광역 메가 경제권으로 재편하겠다는 구상을 제시했다. 특히 "부산·울산·경남은 대한민국 경제의 관문이자, 세계 경제로 뻗어나가는 전략 거점"이라며 지역 성장 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김 전 의원은 부울경 공약을 포함해 △서울·수도권 △충청권 △전라권 △대경권 등 5개 초광역 메가 경제체계를 구축하겠다고 공약했다.
또, 김 전 의원은 부산의 미래 비전으로 "글로벌 금융 및 자유무역 물류 허브화"를 제시했다.
이와 함께, 경남 지역에는 우주항공, 방산, 해운 산업 등을 집중 육성하고, 창원·마산 국가산단을 스마트팩토리 특별지구로 고도화하겠다는 계획도 내놓았다.
청년 경제 활성화도 김 전 의원의 핵심 공약 중 하나다. 그는 "청년들이 실패해도 다시 도전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겠다"며, 50만 개의 청년 스타트업과 100만 명의 청년 기업인 양성을 약속했다.
이를 위해 △연간 50조 원 규모의 벤처 투자 확대 △모태펀드 15조 원까지 확장 △국가 연구개발(R&D) 예산을 국내총생산(GDP) 대비 8%까지 상향 △국가 창업 아이템 데이터 센터 설립 등의 계획을 밝혔다.
김 전 의원은 "제가 걸어온 길은 늘 쉬운 길은 아니었다. 이장, 군수, 장관, 도지사, 국회의원을 지내며 현장을 누비며 위기를 극복해 왔다"며, "이제는 부산시민, 경남도민과 함께 국민소득 5만 달러 시대를 열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우리는 정권 교체를 넘어 새로운 경제 선진강국 대한민국을 만들어야 한다"며 "1극 압축 성장시대를 넘어, 분권 성장 시대로 가는 경제혁명 길에 힘을 실어달라"고 지지를 호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