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 협상을 이끄는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이 “한국과 다음 주에 무역 협상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히면서 미국과 먼저 협상하는 국가가 더 유리한 합의를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14일(현지시간) 베선트 장관은 이날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지난주에는 베트남, 수요일(16일)에는 일본, 다음 주에는 한국과의 협상이 있다”면서 “(협상은) 빠르게 진행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일본이 협상을 서두르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과 관련한 질문에 대해선 “난 우리 동맹국들에 이점이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먼저 움직이는 사람의 이점이 있을 것”이라며 “보통 가장 먼저 협상을 타결하는 사람이 최고의 합의를 하게 된다”고 강조했다.
베센트 장관은 어느 국가가 미국과 가장 먼저 협상을 타결할 것으로 예상하냐는 질문을 받고선 “그들의 선택”이라고 말했다.
상호관세 90일 유예가 끝나기 전에 협상을 타결할 국가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냐는 질문에 “많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실제의 무역 (협정) 문서가 아닐 수도 있지만 우리는 원칙적인 합의를 할 것이며 거기서부터 앞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그는 또 협상을 통해 상호관세를 완전히 없앨 수도 있냐는 질문에 “난 나라들에 '당신의 최선의 제안을 가져오라'라고 말한다”면서 “뭘 들고 왔는지 보고 거기서 (협상을) 시작하겠다”고 했다.
앞서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도 미국 정부가 한국을 비롯해 영국, 호주, 인도, 일본과의 협상을 우선하고 있다고 이날 소식통들을 인용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베선트 장관은 우군들에게 자신의 최우선 목표에 이들 5개국이 포함됐으며 자신이 각 국가의 당국자들을 접촉해왔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