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마트 휴업해도 전통시장 소비↓…성장 생태계 구축 절실”

“대형마트 휴업해도 전통시장 소비↓…성장 생태계 구축 절실”

“대형마트-전통시장 경쟁 관계 아냐…보완적 유통채널 성격”

기사승인 2025-04-15 09:53:02
연합뉴스

전통시장을 보호하기 위해 대형마트 ‘의무 휴업제’가 시행됐지만, 전통시장 활성화 효과가 적어 오프라인 시장의 동반 침체를 가속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15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한국경제인협회 한국경제연구원이 2022년 농촌진흥청 자료를 분석한 결과, 수도권 1500가구의 일평균 전통시장 식료품 구매액은 대형마트 의무휴업일 기준 610만원으로 집계됐다. 오히려 대형마트가 영업하는 일요일(630만원)보다 적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온라인몰의 대형마트 의무휴업일 식료품 구매액은 평균 8770만원으로 조사됐다. 그렇지 않은 일요일보다 130만원 많았고, 슈퍼마켓은 1920만원으로 110만원 많았다.

유민희 한경연 연구위원은 “소비자들은 대형마트가 문을 닫더라도 온라인 구매를 이용하거나 다른 날에 미리 구매하는 것을 선택한다”면서 “대형마트와 전통시장은 경쟁 관계가 아닌 보완적 유통채널의 성격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 같은 온라인몰 성장세는 과거에 비해 더욱 커졌다. 대형마트 의무휴업일 기준 전통시장 식료품 구매액은 2015년 1370만원에서 2022년 610만원으로 55% 감소했다. 슈퍼마켓도 3840만원에서 1920만원으로 줄었다. 반면 온라인몰 구매액은 같은 기간 180만원에서 8770만원으로 48.7배 증가했다.

유 연구위원은 “소비의 중심축이 온라인으로 이동하고 있는데 대형마트에 대한 규제는 더 많은 소비자가 온라인 쇼핑으로 전환하도록 해 오프라인 유통시장의 위축을 가속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한경연은 대형마트 의무 휴업제가 해외에서 보기 드문 점도 지적했다. 독일, 영국, 캐나다 등이 일요일 영업시간을 제한한 적이 있지만 종교활동 보호가 목적이었고 일본은 1973년 대형마트 영업시간을 규제했다가 2000년 폐지했다.

유 위원은 “의무휴업 정책 효과가 미미하다면 과감하게 개선하거나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며 “온라인, 대형마트, 전통시장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유통 생태계 구축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김건주 기자
gun@kukinews.com
김건주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