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선처럼 부풀어 오른 뇌혈관 ‘뇌동맥류’ [건강 나침반]

풍선처럼 부풀어 오른 뇌혈관 ‘뇌동맥류’ [건강 나침반]

언제 터질지 모르는 시한폭탄, 조기 발견과 적극적 치료 중요
뇌동맥류 틀어막는 코일색전술로 안전하고 빠른 회복 기대
글‧신희섭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신경외과 교수

기사승인 2025-04-16 07:54:03

뇌동맥류는 뇌혈관 벽 일부가 약해지면서 혈관이 풍선처럼 부풀어 오르는 질환이다. 풍선도 부풀어 오르다 언젠가는 터지듯이 뇌동맥류도 점차 부풀다가 터질 수 있다. 뇌동맥류가 터지면서 뇌출혈이 생기면 생명을 위협하고, 치료받더라도 심각한 후유증이 남게 된다. 이 때문에 뇌동맥류는 파열되기 전에 미리 발견해 치료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뇌동맥류의 치료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뇌동맥류 5년간 63% 증가, 중년 여성에서 많아

뇌동맥류 환자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뇌동맥류로 병원을 찾은 환자(질병코드 : I671 파열되지 않은 대뇌동맥류)는 2018년 11만5640명에서 2023년 18만8596명으로 63% 증가했다. 2023년 자료를 보면 연령별로는 50~60대에서 10만9894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특히 이 나이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두 배 이상 많았다.

건강검진 보편화되면서 뇌동맥류 발견 늘어

만성질환 증가, 현대인의 과도한 스트레스, 흡연, 음주 등으로 뇌동맥류 환자가 계속 늘고 있다. 최근 건강검진이 보편화되면서 뇌동맥류가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진 것도 환자 증가의 이유가 된다. 중년 여성에서 뇌동맥류가 많이 발생하는 이유는 폐경 이후 혈관을 보호하는 에스트로겐 호르몬이 감소하는 것이 원인 중에 하나로 알려져 있다.

파열되지 않은 뇌동맥류 증상 없어, 검진 중요

뇌동맥류는 파열되기 전까지는 대부분 증상이 없지만, 간혹 두통을 호소하거나 어지러움을 느끼는 경우도 있다. 자각 증상이 없어서 대부분 건강검진을 통해 우연히 발견된다. 파열되지 않은 뇌동맥류는 CT나 MRI 같은 영상검사를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뇌동맥류가 발견되면 뇌혈관조영술을 통해 치료계획을 세운다.

파열되면 뇌출혈로 사망 위험까지

뇌동맥류가 파열되면 지주막하출혈이라는 뇌출혈이 생긴다. 이는 사망에 이르거나 언어장애, 마비 등 영구적인 후유증을 남길 수 있는 무서운 질환이다. 갑작스러운 심한 두통, 구역질과 구토, 의식 저하, 마비 등 증상이 생길 수 있다. 파열된 뇌동맥류는 대부분 응급실에서 CT로 확인한다. 파열 후 24시간 이내에 빈번하게 재파열이 발생하고, 재파열 시 사망률이 70%에 육박해 최대한 빨리 치료해야 한다.

수술적 치료 필수, 코일색전술로 안전하고 빠른 회복 기대

뇌동맥류 치료는 수술이 유일한 치료로, 수술 방법에 두 가지 종류가 있다. 머리뼈를 열고 뇌동맥류의 입구를 클립으로 묶는 ‘개두술 및 뇌동맥류 경부결찰술’이나, 머리뼈를 열지 않고 혈관 안으로 미세카테터를 넣어서 뇌동맥류 내부를 부드러운 백금 코일로 막는 ‘코일색전술’을 통해 치료한다. 뇌동맥류의 위치, 모양, 주변 혈관과의 관계, 환자의 전신 상태 등을 고려하여 경부결찰술과 코일색전술 중 수술 방법을 결정하게 되며, 두 수술 방법은 치료 결과와 합병증에서 비슷한 치료 성적을 보인다.

경부결찰술은 현미경을 통해 수술 부위를 직접 확인하면서 수술하고, 재발율이 낮은 장점이 있고, 코일색전술은 머리뼈를 열지 않기 때문에 저침습적이고 회복이 매우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두 수술 방법 모두 수술 기법의 발달로 수술 안전도가 향상되었으며, 특히 코일색전술의 경우 최근 수술 방법과 기구가 눈부시게 발전하여 많은 뇌동맥류를 코일색전술로 치료하고 있다.

혈압이 높거나, 가족력 있다면 검사 필요

뇌동맥류는 파열되기 전에는 증상이 없으나 일단 파열되면 사망에까지 이르게 되는 위험이 있으므로 미리 발견해서 치료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평소 혈압에 문제가 있는 경우, 뇌동맥류에 대한 가족 중에 2명 이상 뇌동맥류 환자가 있는 경우면 검사를 받아봐야 한다. 예방도 중요하다.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등의 만성질환에 대해 제대로 치료하고, 위험 요인으로 거론되는 흡연, 음주, 스트레스도 관리해야 한다.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