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신증권 주식 사들이는 오너 3·4세…자사주로 지배력 다지기

대신증권 주식 사들이는 오너 3·4세…자사주로 지배력 다지기

기사승인 2025-04-16 06:10:04 업데이트 2025-04-16 09:34:46
대신증권 

대신증권 오너일가가 올해도 자사주 매수를 재개하며 지배력 강화를 위한 본격적인 행보에 돌입했다. 낮은 지분율로 인해 경영권 방어에 취약하다는 평가를 받아온 가운데, 이번 매수는 지배구조 안정을 위한 전략적 포석으로 풀이된다.

1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에 따르면 양홍석 부회장은 특수관계인 지분율이 16.08%에서 16.18%로 상승했다고 공시했다. 지난달 28일부터 이달 11일 사이 특수관계인 양정연씨와 양승주군이 5만4984주를 추가로 장내 매수하면서 총 892만4587주를 보유하게 됐다.

양 부회장의 장남 양승주군은 지난 2020년부터 꾸준히 지분율을 늘리고 있다. 이달 11일까지 장내 매수로 총 주식은 20만1324주로 늘어났다. 지분율은 0.37%다. 양 부회장의 누나인 양정연씨도 9일까지 2만9000주를 장내 매수했다. 누적 보유 주식은 73만2753주로 지분율은 1.33%다. 

이들 외에도 양 부회장(9.83%)를 포함해 이어룡 대신파이낸셜그룹 회장(2.57%), 양 부회장의 두 딸인 양채유양(0.08%), 양채린양(0.08%), 양정연씨 아들 홍승우(0.08%)도 대신증권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대신송촌문화재단(1.42%) 등도 주요 주주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대신증권 특수관계인들을 모두 포함한 지분율은 총 16.17%다. 

이 회장과 양 부장은 현금으로 직접 주식을 매입하는 것뿐만 아니라 대신증권으로부터 자사주를 상여금으로 받았다. 지난해 말 대신증권은 양 부회장에 9만9850주, 이 회장에 6만2203주의 자사주를 상여금 명목으로 지급했다. 대신증권 관계자는 “일부 자사주는 임원 보상 차원에서 상여금으로 지급됐으며, 상여금을 자사주로 지급하는 이유는 책임경영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자사주 활용 방식에 대한 시장의 시각은 엇갈린다. 자사주는 의결권이 없어 제3자에게 매각 전까지는 경영권 행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다만 우호적인 기업과 주식을 맞교환하는 방법으로 활용하는 경우 우호 지분으로 확보할 수 있다. 대신증권은 증권업계에서 자사주 보유 비중이 높은 편이지만, 최근 10년간 주주 환원 차원의 자사주 소각은 한 차례도 없었다. 대신증권 자사주는 2015년 1010만3074주에서 2024년 1277만7438주로 26.5% 증가했다. 

기업이 자사주 매입에 그치지 않고 이를 소각하면 전체 발행 주식 수가 줄면서 주당 가치가 높아진다. 이 때문에 자사주 매입과 소각의 병행은 대표적인 주주친화 정책으로 간주된다. 하지만 대신증권은 자사주를 임직원 성과 보상의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지난 3월 사업보고서에서도 “보유 자사주의 처분이나 소각 계획은 정해진 바 없다”고 밝혔다.

시장에선 오너 3세와 4세의 지분 확대를 두고 경영권 방어 차원, 향후 승계 재원 마련의 일환으로 보고 있다. 통상적으로 대주주 지분율이 30%를 넘어야 안정적인 경영권 행사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자사주를 제외한 대신 오너일가의 실질 지분율이 16%대에 머무는 점은 여전히 리스크로 지적된다. 

과거 경영권 위협 사례도 있다. JP모건자산운용 계열 JF에셋 매니지먼트 리미티드는 2001년 대신증권 지분을 9.69%까지 확대해 일시적으로 최대주주에 오른 바 있다. 당시 양 부회장은 장내 매수를 통해 지분을 대거 사들여 경영권 방어에 나섰다. 

최근 대신증권이 도입한 ‘감액배당(비과세 배당)’ 역시 오너일가의 지배력 강화를 위한 수단으로 해석된다. 감액배당은 일정 기준을 충족한 경우 자본준비금을 활용해 배당 재원을 마련하는 방식으로, 재무 효율성과 주주환원 측면에서 시행한 제도다. 보유 주식이 많으면 세부담이 완화될 수 있다. 

권순호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자사주 소각이 확대되는 추세지만, 기업이 밝힌 보유 목적이 주주환원이 아니라면, 자사주를 통한 환원보다는 기업의 성장성을 우선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임지혜 기자
jihye@kukinews.com
임지혜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