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순신 장군의 거북선과 세종대왕의 측우기가 특허 등록됐다.
특허청 제60주년 발명의 날을 앞두고 선조 발명가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거북선, 측우기, 금속활자 등 우수 발명 15점에 대한 명예특허심사 결과 최종 14점이 등록 결정됐다고 28일 밝혔다.
발명의 날은 세계 최초 측우기를 발명한 날 1441년 5월19을 기념하기 위해 지정된 국가기념일이다.
이번에 명예특허로 등록된 선조 발명품은 아(亞)자방 온돌, 금속활자를 활용한 인쇄 방법, 관상감 관천대, 자격루, 앙부일구, 측우기, 신기전기 화차, 은 정제 방법, 거북선, 비격진천뢰, 혼천 시계, 석빙고, 풍기대, 거중기 등이다.
특허청은 선조의 우수 발명을 현대적 특허관점에서 재해석해 지난달부터 명예특허 심사에 착수 대동여지도 작성 법을 제외한 14점을 최종 등록키로 결정됐다.
특허청 기술분야별 심사관들은 신규성, 진보성, 산업상 이용 가능성 등 특허법상 등록요건을 종합 심사해 선조의 우수 발명이 현대 특허제도서도 기술적 가치를 지닌다는 사실이 입증했다.

임진왜란 때 왜적을 격파한 거북선은 폐쇄형 구조로 외부 공격에서 내부를 보호하고, 상면에 철판못을 갖춰 적군의 선체 등선을 어렵게 함으로써 근접전에서 방어력을 높여 특허를 받을 수 있다고 판단했다.
또 측우기는 직경·높이 비율을 일정범위로 한정해 빗물의 증발을 방지하고 사선으로 떨어지는 빗물을 담을 수 있어, 강우량 측정의 정확도를 높였다는 점에서 그 효과성을 인정받았다.
아울러 금속활자는 개별 활자를 조합해 보관과 활자 재배열이 용이하고, 우수한 내구성으로 반복 사용에도 인쇄품질을 유지할 수 있어 진보성이 인정됐다.
앙부일구는 시계 눈금이 그려진 오목 시반을 우선 제작한 후 관측하는 위치의 북극 고도를 계산, 영침을 설치해 위치에 상관없이 정확한 시간을 관측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허를 받았다.
또 거중기는 지면 수평방향의 고정식 도르래와 이동식 도르래를 여러 개 이용해 무거운 물건을 쉽게 들어 올릴 수 있다는 점에서 기술적 특징과 효과성을 인정받았다.
반면 대동여지도는 19세기 당시 세계적으로 지도가 활발하게 제작돼 선행기술에 비해 차별화된 특징이 없어 등록이 거절됐다. 하지만 지도의 우수성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었다.
이번 심사결과는 특허 청구범위, 출원내용 등 등록특허공보 형태로 키프리스(KIPRIS) 특허정보검색서비스에서 공개될 예정이다.
선조 우수 발명 출원일은 특허청 개청일인 3월 12일로, 발명 역사 순으로 출원번호 및 등록번호를 부여했다.
이에 따라 신라 아(亞)자방 온돌이 1번, 조선 정조시대 거중기는 14번이다.

특허 등록일은 발명의 날 60주년을 기념해 내달 19일이다.
특허청은 선조 우수 발명의 명예 특허증을 제작, 발명품이 전시된 국립중앙과학관 등과 협력해 이를 수여하고 전시할 방침이다.
또 선조 우수발명품을 활용해 지식재산의 중요성을 알릴 수 있도록 영상콘텐츠를 제작키로 했다.
김정균 특허청 산업재산정책국장은 “명예특허 심사를 통해 우리 선조가 얼마나 끊임없이 탐구하고 도전했는지, 얼마나 큰 기술적 진보를 이루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며 “발명의 날 60주년과 명예특허심사를 통해 발명의 가치를 되새기고, 내일의 기술 혁신으로 이어지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특허청은 발명의 날 60주년을 맞아 5월을 ‘발명의 달’로 지정하고 전국 및 온라인에서 다채로운 기념행사를 진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