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1분기 서울의 아파트와 연립·다세대 등 주택 월세 비중이 분기 기준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높은 전셋값과 금리 부담, 전세사기 후폭풍으로 전세의 월세 전환이 가파르게 이뤄지고 있다.
28일 대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올해 1분기(1월∼3월) 서울에서 확정일자를 받은 주택 임대 계약 총 23만3958건 가운데 월세 계약은 6만2899건으로 조사됐다. 주택 거래의 64.6%가 월세 거래인 셈이다. 월세 비중은 2021년까지 연평균 40%대를 유지했다. 그러나 2022년부터 대규모 전세사기와 역전세난이 이어지자 50%대를 넘어섰다. 2022년 53%, 2023년 56%대로 높아졌고, 지난해는 평균 60.3%까지 치솟았다.
분기별로는 지난해 2분기 59.1%에서 3분기에 60.3%, 4분기에 61.2%로 증가세를 보인 뒤 올해 1분기에 65%에 육박하는 수준으로 비중이 급증했다.
특히 전세시장에서 필수 요소로 떠오른 전세반환보증 가입 문턱이 높아지며 전세에 대한 선택지가 줄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전세반환보증 가입 문턱이 공시가격의 150%에서 126%로 강화됐다.
또한, 다음 달부터 HUG와 SGI서울보증의 전세대출 보증 비율이 100%에서 90%로 하향 조정됨에 따라 은행에서 내주는 전세대출 한도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와 은행 대출 금리 인하도 지연되면서 인상된 보증금을 월세로 돌리는 경우가 늘고 있다.
전문가는 전세 사기에 대한 부담감이 월세 선호 현상을 키웠으며 안전장치 마련 전까지는 이 같은 현상이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전세 사기를 피하기 위해 10~20만원 더 내더라도 월세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해진 것”이라며 “월 120만원을 낸다하더라도 전세보다 월세를 택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전세시장에 사기로부터 보증금을 지킬 수 있도록 보증보험 한도를 올려주는 등 안전장치가 생긴다면 월세 수요가 전세로 전환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